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버스는 8월부터 300원, 지하철은 10월부터 150원 인상

<앵커>

서울시가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 요금을 모두 올리기로 했습니다. 지하철은 올해 10월부터 150원 오르고, 버스는 다음 달부터 300원 비싸집니다. 운송 원가 상승과 무임승차 인구 증가로 적자 부담이 커졌다는 이유인데, 소비자단체는 반발했습니다.

장선이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 지하철 기본 요금이 1천400원으로 150원 오릅니다.

현재 1천250원인 지하철 요금을 오는 10월 7일부터 150원 올린 뒤, 내년 하반기에 또 한 차례 150원 올리기로 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1천550원이 되는 것입니다.

[윤종장/서울시 도시교통실장 : 서민의 물가 부담을 고려하고요, 중앙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발맞춰서 1년에 걸쳐서 나눠서 인상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시내버스 요금은 당장 다음 달 12일부터 오릅니다.

간선과 지선버스는 300원, 마을버스 300원, 심야버스는 350원 인상돼 시민 부담이 커지게 됐습니다.

[이문희/서울 양천구 : 식료품도 거의 다 그 정도 오르던데, 아무래도 이제 먹고 살기 힘들어지는 거죠.]

[우다인/서울 양천구 : 300원 인상되면 한 달에 지출되는 비용이 좀 많아져서 좀 힘들 것 같아요.]

소비자단체는 서울시가 제대로 의견 수렴을 하지 않은 채 요금 인상을 강행한다며 물가대책위에 불참했습니다.

[여미애/너머서울 공공요금 팀장 : 공공의 필수재인 교통입니다. 안 탈 수 없는 구조 속에서 요금 폭등은 굉장히 폭력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시는 이번 요금 인상을 통해 지하철과 버스 운영 적자가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이번 요금 인상만으로는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 서울시 설명입니다.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누적 적자는 17조 6천808억 원, 시내버스 누적 적자도 8천억 원에 달합니다.

요금 인상 결정으로 65세 이상 무임승차 연령 조정에 대한 논란도 조만간 다시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최혜란, VJ : 김형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