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한국 겨냥한 중국 전랑외교…늑대와 춤을 출 방법은?

외교부, 싱하이밍
한중 외교 당국이 두 달도 채 안 돼 다시 공개적으로 충돌했습니다. 지난 4월 첫 번째 충돌은 타이완 문제를 언급한 윤석열 대통령의 외신 인터뷰가 계기였는데, 이번엔 유튜브 생중계에서 초강경 발언을 내놓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언행이 문제가 됐습니다.
 

무슨 상황인데

'미국이 승리하고 중국이 패배하는데 베팅하면 반드시 후회할 것'이라는 싱 대사의 발언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대사의 언행이 외교관례에 어긋나고 외교사절로서 도를 넘었다'며 싱 대사를 초치해 강력 항의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중국의 입장과 우려를 소개하는 것은 대사의 직무 범위"라고 반박했습니다. 싱 대사의 발언 내용이 개인적 생각이 아니라 중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확인해 준 겁니다.
 

좀 더 설명하면

지난 3, 4월 중국 관영매체들이 윤 대통령을 향해 '몽유병에 걸려 일본에 아첨한다' 같은 막말을 쏟아 낸 뒤에도 중국 정부는 제동을 걸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중국 국내의 민의를 반영한다"라고 말해 힘을 실어줬습니다. 외교관과 관영 매체를 총동원해 한국 정부의 외교정책을 압박하는 모습입니다.
 

한 걸음 더

이른바 늑대전사(전랑, 戰狼) 외교로 불리는 중국 외교관들의 수위 높은 발언이 어제오늘 일은 아닙니다. 다만 미국이나 일본이 아닌 한국을 상대로 '타이완 문제에 말참견하지 말라.. 불장난하면 불에 타 죽는다' 같은 발언이 최근 잇따라 나왔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점입니다.

친강 중국 외교부장 (사진=중국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특히 전랑 외교의 상징으로 꼽히는 친강 중국 외교부장이 취임한 뒤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친 부장은 주미 중국 대사 시절 미국을 향해 '입 닥치라'라고 말하는 등 대미 강경 발언으로 중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어 외교부장으로 발탁된 것은 물론 3개월 만에 국무위원까지 겸직하게 됐습니다. 전임자인 왕이 전 외교부장이 부장에 임명되고 국무위원으로 승진하는 데 11년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초고속 승진인 셈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