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북한 군사위성 재발사 선언에 "한일과 '도발 억제' 협력"

미국, 북한 군사위성 재발사 선언에 "한일과 '도발 억제' 협력"
미국 국방부는 8일(현지시간)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움직임을 비판하면서 동맹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패트릭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와 재발사 가능성, 그리고 그 시점에 대한 질문에 "앞으로 일어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자제했습니다.

하지만, 라이더 대변인은 "알다시피 북한은 재발사하겠다는 의향을 밝혔고,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 등 미국과 국제사회의 많은 지도자가 이를 규탄했음을 알고 있을 것"이라며 "그것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며 정세를 불안정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상황을 논의하고 도발 가능성을 억제하려는 협력을 지속하기 위해 한국, 일본 동맹은 물론 역내 다른 동맹 및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31일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1형'을 발사했지만 실패했습니다.

장거리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한미 등 국제사회로부터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위반이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북한은 조속한 시일 내 재발사를 공언한 상태입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일 공개회의를 열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규탄 성명이나 추가 제재 결의안을 채택하지 못했습니다.

이어 라이더 대변인은 콜린 칼 미 국방부 정책차관이 하와이, 한국, 일본을 차례로 방문하기 위해 이번 주 출국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칼 차관은 (하와이에서) 미군 인도·태평양 사령부 지휘부를 만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다양한 카운터파트와 회동해 역내에서의 철통 같은 동맹과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오스틴 장관이 최근 일본, 싱가포르, 인도, 프랑스 등 인태 지역 및 유럽 방문을 성공리에 마쳤다며 "각 방문지에서 카운터파트를 만나 자유롭고 개방된 인태 지역에 대한 우리의 지속적인 초점과 공유된 비전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스틴 장관이 싱가포르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연설에서 강조했듯이 점점 더 많은 인태 지역 국가가 공동의 미래 비전을 위해 한 데 모였다"며 "그것은 모든 국가가 강압이나 위협, 괴롭힘 없이 번영할 수 있기 위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앞서 오스틴 장관은 지난 3일 샹그릴라 대화 기간 연설에서 "규칙과 권리의 세계에서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안전한 인태지역 비전"을 거론하며 "이는 주권 존중, 국제법 준수, 투명성 및 개방성, 무역과 사상의 자유로운 흐름, 인권과 인간 존엄성, 크고 작은 모든 국가에 대한 동등한 권리, 강압이나 정복이 아닌 평화로운 대화를 통한 분쟁 해결 등 일부 핵심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중국을 겨냥한 언급으로, 오스틴 장관은 이 회의 기간에 리상푸 중국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에게 대화를 제안했지만 성사되지 못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