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수소 · 반도체 · 친환경 첨단 기술' 한국에 온다

미국 '수소 · 반도체 · 친환경 첨단 기술' 한국에 온다
▲ 워싱턴 DC 미국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기간 미국의 첨단산업 분야 기업들이 한국에 '19억 달러 투자'를 결정한 것은 한미 양국의 강화된 전략적 경제·기술 파트너십 사례로 꼽힙니다.

글로벌 공급망의 대대적인 재편 흐름 속에 한미 양국이 '경제 안보 동맹'을 토대로 긴밀히 협력해 나간다는 의미도 담겼습니다.

안정적 공급망 구축의 최적 파트너임을 재확인한 것입니다.

오늘(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수소·반도체·친환경 분야의 미국 6개 첨단기업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 신고식에서 한국에 총 19억 달러(약 2조 5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는 윤 대통령도 함께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청정수소,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과 관련한 시설을 한국에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수소 분야 투자를 결정한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는 그린암모니아-그린수소터미널·크래킹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플러그 파워(Plug Power)는 수소 기술 연구·개발(R&D)센터 및 수소연료전지 생산시설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의 투자를 통해 국내 청정수소 상용화와 공급망 확충,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대 등이 기대됩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온 세미콘덕터(On Semiconductor)와 그린 트위드(Greene Tweed)가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온 세미콘덕터는 SiC(실리콘카바이드) 전력 반도체 생산시설을, 그린 트위드는 반도체 장비용 특수 오링(O-Ring) 생산시설을 각각 갖춘 기업으로, '한미 반도체 동맹'에 역할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강점을 갖는 한국이 이번 미국의 투자를 계기로 비메모리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부문으로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업계의 기대도 있습니다.

친환경 분야에서는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PureCycle Technologies), EMP 벨스타(EMP Belstar)가 투자합니다.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는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EMP 벨스타는 친환경 초저온 물류센터에 각각 특화한 기업인 만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내 산업구조 전환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윤 대통령은 투자신고식에서 "투자 규모 그 자체로 중요하지만, 첨간 기술을 한국 산업에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양국 경제발전에 큰 시너지로서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올해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이 이미 군사·안보 동맹을 넘어 투자동맹으로도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전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산업부는 이번 투자가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외국인 투자기업에 차별적이거나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은 규제 혁신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