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미 용사에 무공훈장…"한국 번영, 미국 젊은이 희생 위에"

윤, 미 용사에 무공훈장…"한국 번영, 미국 젊은이 희생 위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빈 방미' 이틀째인 25일(현지시간) 한미 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오찬에 참석했습니다.

이날 워싱턴DC 한 호텔에서 열린 오찬에서 윤 대통령은 랄프 퍼켓 예비역 육군 대령, 앨머 로이스 윌리엄스 예비역 해군 대령에게 훈장을 친수하고, 고(故) 발도메로 로페즈 중위에게는 조카인 조셉 로페즈가 참석한 가운데 훈장을 추서 했습니다.

퍼켓 대령은 1950년 11월 25일 미 제8군 유격중대 중대장(중위)으로 참전해 평안북도 소재 205고지 진지를 6회에 걸쳐 사수하고 대원들의 목숨을 구했습니다.

윌리엄스 대령은 1952년 11월 적군 미그15기 7대와 교전 끝에 4대를 격추했고, 로페즈 중위는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에서 수류탄에 몸을 던져 부하들의 희생을 막았습니다.

윤 대통령은 퍼켓 대령의 휠체어를 직접 끌고 무대로 이동했습니다.

이어 최고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퍼켓·윌리엄스 대령과 로페크 중위 조카에게 수여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찬사에서 "전쟁의 폐허를 딛고 글로벌 리더 국가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의 눈부신 번영은 미국의 수많은 젊은이의 희생과 헌신 위에 서 있다"며 "자유의 가치를 믿는 180만 명의 젊은이들이 공산화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한국전쟁에 뛰어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직 자유를 지킨다는 사명 하나로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국민을 위해 고귀한 희생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대통령은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희생이 없었다면 오늘날 대한민국도 없었을 것"이라며 "한국전쟁은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승리한 전쟁, 기억해야 할 전쟁이다.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의 오늘을 있게 한 영웅이자 진정한 친구"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금 이 시간에도 한국에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2만 8천여 명의 주한미군 전우들이 국군과 함께하고 있다"고 말하자 박수가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은 "피로 맺어진 한미 동맹은 70년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이며 강력한 동맹 관계를 만들어왔다"며 한국 정부가 한국전에서 전사하거나 실종된 미국 장병들의 유해 발굴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이 신뢰와 믿음을 통해 견고한 자유 수호 동맹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오찬에는 빈 테이블이 마련됐습니다.

이미 세상을 떠났거나 전사한 용사들을 추모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겁니다.

윤 대통령은 이 테이블로 이동해 촛불을 점화한 후 목례를 했습니다.

이날 오찬에는 찰스 브라운 공군참모총장, 리사 프렌체티 해군참모차장,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커티스 스카파로티· 존 틸럴리 전 한미연합사령관, 버나드 샴포우· 마리클 빌스 전 미8군사령관 등 미국 전현직 장성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한미동맹의 상징인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외손자 조셉 맥 크리스천 주니어와 백선엽 장군의 장녀인 남희 씨도 함께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