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유출 기밀문서 "중국 정찰풍선, 최대 4개 더 있었다"

미 유출 기밀문서 "중국 정찰풍선, 최대 4개 더 있었다"
미국 정보 당국이 올해 2월 미국 영공을 침범해 미·중간 긴장을 고조시킨 중국 정찰풍선과 비슷한 물체를 최대 4개 더 인지하고 있었다는 내용이 최근 유출된 미 정부 문건에서 새로 드러났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미 국가지리정보국이 2월 15일자로 작성한 것으로 적힌 보고서에는 미 정보 당국이 '킬린-23'이라고 부르는 중국 정찰풍선과 함께 '벌저-21'과 '아카르도-21'로 이름 붙인 이전의 풍선에 대한 평가가 담겨 있습니다.

2월 15일은 미국이 2월 4일 동부 해안 상공에서 중국 정찰풍선을 격추한 지 10여 일 지난 시점입니다.

또 다른 보고서에는 다른 정찰풍선이 미 항공모함전단 상공을 비행했고 또 다른 정찰풍선 1개도 앞서 하늘을 날다가 남중국해에 추락한 적이 있다는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

2월 격추된 정찰풍선 외에 2∼4개의 다른 풍선의 존재를 미 당국이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벌저-21'이라고 이름 붙은 풍선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전 세계를 비행했고 줌 기능이 있는 영상 촬영 장비를 갖춰 고해상도 데이터 수집 등 강력한 감시 기능이 있고,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중국 정찰풍선 개발사인 EMAST와 연관성을 보여주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아카르도-21'은 '벌저-21'과 비슷한 장비에 짐벌 센서도 탑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고서에는 '킬린-23'이 정교한 정찰 시스템을 갖췄는데, 미 정부는 이를 격추한 지 일주일이 넘도록 여기에 탑재된 수많은 안테나나 센서의 정체를 완전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적혀 있고 '킬린-23'에 탑재된 물체를 자세히 촬영한 사진도 담겼습니다.

보고서는 킬린-23에 탑재된 태양광 패널이 최대 전력 1만와트를 생산할 수 있다면서 이는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들 풍선의 이름은 도널드 킬린, 제임스 화이티 벌저, 토니 아카르도 등 악명 높은 범죄자 이름을 딴 것으로 보인다고 익명의 미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이 보고서에 적힌 대로 정찰풍선이 항모전단 상공을 비행했다면 미 공화당이 의회에서 중국의 첩보활동을 감지하지 못했다며 조 바이든 행정부를 질타하고 있는 상황에 더욱 의구심이 제기될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는 지적했습니다.

미 국방부와 국가정보국은 유출 문건들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