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빅테크 'FAANG' 지난해 시총 3천789조 원 증발

빅테크 'FAANG' 지난해 시총 3천789조 원 증발
지난해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등 5개 거대 빅테크 기업의 시가 총액이 3조 달러, 우리 돈 3천789조 원 이상 줄어든 걸로 나타났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지시간 1일 이들 5개 빅테크 기업을 일컫는 'FAANG' 가 2022년 주식시장에서 어느 때보다도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면서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메타의 주가는 지난해 64% 폭락했고, 넷플릭스는 51% 하락하면서 반 토막이 났습니다.

나머지 3개 기업도 최소 27% 이상 주가가 내려갔습니다.

대형주인 FAANG의 동반 하락은 미국 500대 기업의 주가를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함께 끌어내렸습니다.

지난해 S&P 500지수의 하락 폭은 19%로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FAANG가 S&P 500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시총 급감으로 2021년 17%에서 지난해 13%로 감소했습니다.

FAANG의 저조한 성적은 40여 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의 공격적인 기준 금리 인상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기술주가 하락한 반면, 전년도에 부진했던 S&P 500의 에너지 분야는 2022년 59%나 반등했습니다.

이와 함께 소비자 필수품이나 의료보건 등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 종목들도 전반적인 시장 성적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석유 메이저인 엑손모빌의 경우 2021년에는 시총 기준으로 S&P 500에서 상위 25위에도 들지 못했지만, 지난해 8위까지 뛰어올랐습니다.

반면 메타는 시총 기준으로 S&P 500 6위에서 19위로 하락했고, 테슬라는 5위에서 11위로 떨어졌습니다.

문제는 경기 침체가 예고된 상황에서 향후 빅테크 기업들의 반등도 낙관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메타와 아마존은 정리해고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소비자와 기업이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으로 인한 부정적인 경영환경을 돌파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다만 수년 안에 FAANG가 부활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아폴론 웰스 매니지먼트의 투자분야 대표인 에릭 스터너는 "2024년으로 예상되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는 기술주가 다시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