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IMF 총재 "올해 세계 경제 더 힘들 것"

IMF 총재 "올해 세계 경제 더 힘들 것"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국제통화기금 IMF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올해는 미국과 유럽연합, 중국 등 이른바 '빅3'의 경기 둔화로 인해 세계 경제가 더 힘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앞서 IMF는 지난 10월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고금리 유지 등을 반영해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로 내린 바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로 세계 경제 성장을 더 끌어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한 언론 매체 인터뷰를 통해 전망했습니다.

중국은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하면서 코로나19 감염이 급증하고 있으며, 각국은 중국발 감염 유입 차단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중국은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작년에 크게 둔화했다"며 "2022년 중국 성장률이 40년 만에 처음으로 글로벌 성장과 같거나 그 이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IMF는 지난 10월 중국의 2022년 성장률을 3.2%로 낮춰 잡았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률 역시 3.2%로 예상해 중국과 같은 수준을 예상했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또 "내년을 보면, 3∼6개월 동안 코로나19 제한 완화는 중국 전역의 코로나 감염 사례의 산불을 의미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중국인들이 일단 여행을 시작하면 제로 코로나는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몇 달간 중국은 어려울 것이며, 중국 성장에 대한 영향은 물론 지역과 글로벌 성장에 대한 영향도 부정적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로 인한 감염 재확산이 2023년 중국 및 세계 경제를 강타해 성장률을 더욱 끌어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인 셈입니다.

이 발언은 올해 중국과 글로벌 성장률 전망치가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것으로, IMF는 지난 10월 전망치에서 중국의 2023년 성장률을 4.4%로 예상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통상적으로 성장률 업데이트를 발표하는 이달 다보스 포럼(16∼20일)에서 중국과 글로벌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임을 시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 경제는 가장 복원력이 있다"며 "미국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을 것이며, 미 노동시장은 상당히 강세"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러한 미 노동시장 강세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지적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 역시 "노동시장이 강하면 물가를 낮추려 금리를 더 오래 더욱 긴축해야 할 수 있어 이것은 좋기도 나쁘기도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