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충북 괴산서 지진 발생, 곳곳 진동 감지…여진 주의해야

<앵커>

기상팀 서동균 기자와 함께 자세한 지진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Q. 지진 상황?

[서동균 기자 : 오늘(29일) 오전 충북 괴산에 계신 분들은 굉장히 놀라셨을 텐데요. 오전 8시 7분 33초쯤에 3.5 규모의 지진이 충북 괴산군 북동쪽 약 11km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 이후 16초쯤 지난 뒤에 이번 지진의 본진인 규모 4.1의 지진이 다시 한 차례 발생했는데요.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을 수치화한 최대 진동값은 충북에는 5, 경북에는 4, 강원과 경기, 대전에는 3이 감지됐고, 서울과 제주도에도 진동이 감지됐습니다. 진도 5 정도면 그릇이 깨지거나 유리창이 흔들릴 수 있을 정도의 진동이라서 많은 분들이 진동을 많이 느끼셨을 것 같은데요. 올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 중에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었고 첫 번째로 4.0를 넘은 지진으로 기록이 됐습니다.]

Q. 지진 유발할 수 있는 활동? 

[서동균 기자 : 일단 전문가들이 이 지역의 단층대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는 있는데요. 지구가 축구공처럼 지각판들이 여러 개가 맞물려서 움직이다 보니까 각 지각판들의 접합 지점에서는 이런 식으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이 1978년에 지진통보 업무를 시작을 했는데 바로 이 해에 이 지역 남쪽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이 된 기록이 있고요. 또 오늘 규모 3.0의 지진을 포함해서 이 지역에서 총 규모 3.6의 지진이 13차례 발생한 기록이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Q. 한 고비를 넘긴 상황?

[서동균 기자 : 일단 8시 27분 49초에 일어났던 지진을 기상청은 본진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해 주신 대로 여진이 문제입니다. 지진 발생 후에 단층 주변에 남아 있는 탄성에너지가 해소되는 과정에서 이렇게 여진이 발생할 수고 있는데요. 본진의 규모에 따라서 여진이 비례하고 발생 기간도 늘어나게 됩니다. 지난 2016년 경주의 경우를 보더라도 규모 5.8의 지진 발생 이후 일주일 뒤에 규모 4.5의 지진이 또 발생했습니다. 또 다음 해인 2017년 포항 지진의 경우에는 11월에 본진이 발생했는데 이듬해 2월에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을 했습니다. 다행히 이번 지진이 앞선 경주와 포항에 비해서는 규모가 약한 편이기 때문에 여진이 발생하더라도 규모 4.0를 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고 큰 피해를 주지는 않을 정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3.0 이상의 여진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기본적으로 내진 설계가 잘 안 되어 있으면 이 정도 지진에도 큰 피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참고를 해서 대비를 해 주셔야겠습니다.]

Q.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서동균 기자 : 일단 지진은 우리가 예측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발생 직후에 알게 되는데요. 진동을 느끼셨다면 일단 머리를 보호하시는 게 급선무입니다. 책이나 방석 등으로 머리를 감싸고 또 책상 같은 구조물 밑에 숨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조금 더 안전한 곳으로 이동을 해야 되는데요. 진동이 감지될 때 즉, 흔들릴 때는 이동을 하지 않으셔야 되고요.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기다린 다음에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으로 이동을 하면서 유리창이나 담벼락 등에서는 최대한 멀리 떨어져 공터 같은 넓은 평야가 있는 곳으로 가야 됩니다. 보통 이제 학교 운동장이 될 수가 있겠죠. 그런 곳으로 공간을 이동을 해서 대피를 해 주셔야 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