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0대 이하 청년층 다중채무액 158조 원 넘어…"5년 새 33% 증가"

30대 이하 청년층 다중채무액 158조 원 넘어…"5년 새 33% 증가"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상화폐나 주식 투자 열풍 등으로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약 5년 전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1일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금융권 다중채무자 현황 및 리스크 관리 방안' 보고서를 통해 "금융권 다중채무자와 이들의 1인당 채무액 규모가 급증하면서 잠재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다중채무자는 451만 명, 채무액 규모는 598조8천억 원 수준으로, 2017년 말(416만6천 명·490조6천억 원)보다 각각 34만4천 명(8.3%), 108조8천억 원(22.1%)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 다중채무액을 보면 30대 이하 청년층이 32.9%(39조2천억 원) 증가한 158조1천억원이었습니다.

40∼50대 중년층은 16.2%(51조2천억 원) 늘어난 368조2천억 원, 60대 이상 노년층은 32.8%(18조 원) 증가한 72조6천억 원이었습니다.

전체 다중채무액에서 중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61.5%로 가장 높지만 증가 속도는 청년층과 노년층이 중년층의 두 배 이상 빨랐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다중채무자 1인당 금융권 채무액은 2017년 말 1억1천800만 원에서 1억3천300만 원으로 12.8%(1천500만 원) 증가했습니다.

청년층은 1억1천400만 원으로 29.4% 늘어났으며 중년층도 1억4천300만 원으로 10.4% 증가했고, 노년층은 10.3% 감소한 1억3천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대출금리 수준이 높은 제2금융권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다중채무자와 채무액 증가 속도가 빨라져 부실화 우려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