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역대 최저…2년 새 45만→18만 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역대 최저…2년 새 45만→18만 건
전국 아파트 매매 시장이 2년 새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신고 일자 기준)는 18만4천134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같은 기간 기준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연도별로 6월까지 아파트 매매량이 20만 건을 밑돈 것은 올해와 2019년(19만8천182건)뿐이었습니다.

특히 상반기 기준으로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역대 최다였던 2020년(45만2천123건)과 비교해 59.3%나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서울은 4만8천298건에서 9천931건으로 79.4%, 인천은 3만9천911건에서 7천928건으로 80.1% 각각 급감했습니다.

서울과 인천에서 상반기 아파트 매매 건수가 1만 건을 밑도는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경기도도 14만9천511건에서 3만5천549건으로 76.2% 감소했습니다.

2020년 상반기는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 0%대의 초저금리 시대가 열리면서 시중에 자금 유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풍부했던 시기였습니다.

이 같은 초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자금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면서 아파트 매매 건수가 폭증하고, 가격도 대폭 올랐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지속해서 인상되자 아파트 매매 시장의 상황이 2년 만에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서울 주택 유형별 매매 현황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28.4%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매매 급증과 가격 폭등에 따른 불안감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를 통해 아파트 매수에 나섰던 2030 세대의 '패닉 바잉'(공황 구매)도 올해 들어 잦아들었습니다.

부동산원 아파트 매매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매 비중은 35.9%였는데, 이 비중은 2020년 상반기 34.6%에서 2020년 하반기 40.2%로 처음 40%를 넘은 뒤 지난해에도 상반기(41.4%)와 하반기(42.0%) 연속해서 40% 이상이었습니다.

올해 들어 고물가와 금리 인상,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젊은 층의 매수세가 약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