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첫 외교무대는 '용산 집무실'…집무실 옆 '간이 영빈관'도 추진

첫 외교무대는 '용산 집무실'…집무실 옆 '간이 영빈관'도 추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용산 국방부 청사 2층에 '간이 영빈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오늘(6일) 언론 통화에서 "2층 집무실이 완성되면 그 옆에 최대 200명가량 들어갈 수 있는 큰 공간도 마련할 것"이라며 "그곳에서 리셉션 등을 개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존 청와대 영빈관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그 절반 정도의 '간이 영빈관'을 집무실 바로 옆에 두고 외교 무대로 활용하는 방안입니다.

다만 이 공간을 오는 21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을 전후해 사용하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국방부 청사 2∼4층이 뒤늦게 비워지면서 리모델링 공사도 늦어졌기 때문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소인수·확대 회담은 모두 5층 임시 집무실과 접견실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된 상태입니다.

회담 전날인 20일 환영 만찬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기로 했습니다.

미국은 오는 8일쯤 사전 답사단을 추가로 파견해 회담장과 만찬장, 바이든 대통령 방문 예정지 등을 최종 점검할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경기 평택 삼성 반도체 공장과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인들과의 만남이나 대중 연설도 검토되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윤 당선인은 오는 10일 취임 직후부터 5층 집무실을 외교 무대로 활용할 전망입니다.

당장 오는 11일부터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10개국 외빈과 연쇄 면담하는 등 외교 일정을 소화할 예정입니다.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포스탱-아르샹제 투아데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조지 퓨리 캐나다 상원의장 등을 새 집무실 옆 접견실에서 만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회사인 아람코의 야시르 오스만 알 루마이얀 회장,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데이비드 맥밀런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등의 예방도 받는다고 합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윤 당선인이 취임과 동시에 용산 집무실을 청와대 본관처럼 사용할 것"이라며 "각국 정상을 만나는 공간으로도 당연히 활용할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