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용산 집무실 주변은…담벼락 허물고 2.4m 철제펜스 · 무인 AI경호

용산 집무실 주변은…담벼락 허물고 2.4m 철제펜스 · 무인 AI경호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새 대통령 집무실의 내부 배치도가 윤곽을 드러낸 가운데 집무실과 맞닿은 주변 공간 조성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앞서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가 공개한 조감도에 따르면 새 집무실 우측과 남측 전면은 시민공원으로 조성합니다.

TF는 이 공원과 집무실 사이 물리적 경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구상 중입니다.

소통과 개방성을 강조해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설명입니다.

오늘(26일) 윤 당선인 측과 TF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방부 청사 경계를 둘러싸고 있는 벽돌 담벼락은 이미 철거 공사가 시작됐습니다.

담장을 허문 자리에는 '백악관 스타일'의 철제 펜스가 세워질 것이라는 게 TF 측 설명입니다.

백악관 경계는 파이프 형태의 철제 펜스로 둘러싸여 있어 일반인들이 경내를 들여다볼 수 있게 돼 있습니다.

펜스의 높이는 기존 청와대(2.4m)와 비슷하게 유지하되, 봉황 무늬 등 장식적 요소를 걷어내고 상단도 끝이 뾰족한 표창 형태가 아닌 산봉우리 같이 둥근 모양이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민들에게 집무실과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게 해서는 안 된다는 윤 당선인의 의중이 담겼다는 설명입니다.

이 구상대로라면 윤 당선인은 취임 후 본인의 집무실에서 유리창 사이로 시민과 '아이 콘택트'가 가능한 셈입니다.

2층 본집무실 외에 5층에도 추가로 집무실을 꾸린다는 계획도 공원 방향으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도 전해졌습니다.

최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그림자 경호' 구상도 윤곽이 그려지고 있습니다.

공원 입구와 집무실 주변을 중심으로 금속탐지 기능, 적외선 카메라 등을 탑재한 무인 AI 경호 시스템을 가동하는 등 잠재적 위협에 대응하면서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수위 관계자는 "시민들을 분리·차단하지 않는 새로운 경호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구상을 밝혔습니다.

공원 안팎으로 사복 경호원이 곳곳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한미군으로부터 반환을 앞둔 용산기지 부지를 일종의 '체험형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아메리카 타운' 내지는 '리틀 엘에이' 콘셉트가 아이디어로 거론됩니다/.

미군과 그 가족들이 사용하던 도로와 건물 등을 철거하기보다는 내부 구조만 일부 보완, 산책로와 함께 카페, 전시·공연장 등 각종 문화 시설물로 재활용한다는 구상입니다.

TF 관계자는 다만 "군 시설이었던 만큼 환경평가는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실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