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상] "뭐가 씌었길래" "안보 문제없어"…'집무실 이전' 두고 국회도 충돌

여야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계획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 민주당은 이전 계획이 '졸속'이며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고 비판했고, 국민의힘은 일부 비판은 '가짜뉴스'이며, 오히려 국방 안보에 도움이 된다고 맞받았습니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오늘(22일) 오전부터 서욱 국방장관 등을 상대로 긴급 현안 질의를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야는 시작부터 맞붙었습니다. 청와대가 어제(21일), 윤석열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계획에 대해 공개 제동을 걸며 충돌한 것에 이어 국회에서도 여야의 기 싸움이 이어졌습니다.

홍영표 민주당 의원은 "군사작전하듯이 졸속으로 이전하는 것에 큰 문제가 있고 안보 공백을 반드시 초래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윤 당선인이 공약한 '광화문 시대'를 비꼬며 "광화문 시대를 여는 게 아니라 용산 시대를 여는 거다. 그거부터 사과해야지, 너무 뻔뻔하다"라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설훈 민주당 의원도 "계획을 세우고 차분하게 옮겨야 제대로 된 옮김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옮기게 되면 뭐가 씌어서 그런 거 아닌가라고 볼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어서 "소통을 위해 청와대를 옮기는 건데, 그럼 국민과 소통하며 시간을 충분히 두고 해야지, 세상에 이런 소통이 어디 있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 밖에도 국방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절차적 문제점과 소통 부족, 소요 비용 등을 지적하며 전방위적인 공세를 펼쳤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적극 방어에 나섰습니다.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은 "제가 우연히도 지금 거론되는 3개 부서에서 15년 이상 주요 지휘자로 근무했다. 제가 있을 때는 국방부 지하실(벙커)은 운용 안 했다. 합참 벙커로 갔다"라며, 국방부가 합참 건물로 이전하더라도 안보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올해 미사일을 10번 발사할 때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에 미사일 관련해서 딱 한 번 참석했다"라며, "그런데 어제 집무실 이전 관련한 NSC는 직접 주재하셨다"며 "북한의 미사일이 더 큰 안보 위협이지, 청와대의 국방부 용산 이전이 더 큰 안보 위협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라고 비꼬았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또, 문재인 대통령도 과거 2012년과 2017년 대선 후보 시절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라고 말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여야 의원들의 공방 가운데에 선 서욱 국방장관이 답변에 곤혹스러워하는 장면도 여러 차례 포착됐습니다.

김민기 민주당 의원이 '용산 국방부 내에 지하 벙커가 있는가', '지하 통로 있는가'라고 묻자 서 장관은 "이야기를 안 했으면 하는 게 저희 생각이다", "그런 말씀은 비공개로 해주시거나 개별적으로 했으면 좋겠다"라고 난처해했습니다. 김 의원의 질의는 지난 20일 윤 당선인이 용산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벙커 위치를 가리켰던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국방부가 이전해도 전시 상황에 작전 수행에 문제가 없을 것이란 취지로 "지휘부는 지금 남태령에 다 모이게 된다. 지금과 (시설 등이) 변하는 게 하나도 없지 않은가"라고 묻자 서 장관은 "자꾸 저희들이 전시에 어떻게 움직이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이라며 말을 흘렸습니다.

서 장관은 "정확한 답을 드렸으면 참 좋겠는데 여러 가지 의견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그것을 어느 한 편은 팩트고 어느 한 편은 아니라는, 심판을 보기 위한 장관의 답변을 요구하는 건 저로서는 좀 곤혹스럽다"라며,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에게 양해를 구하기도 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김남성 / 편집 : 한만길 / 제작 : D콘텐츠기획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