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당선인 측 "합참 이전 시 비용 1천200억 원…세종 제2집무실 약속 지킬 것"

윤 당선인 측 "합참 이전 시 비용 1천200억 원…세종 제2집무실 약속 지킬 것"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오늘(21일)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따른 합참 이전 비용과 관련해 "합참이 남태령으로 이전할 경우 새롭게 청사를 짓는 비용은 1천200억 원 정도면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밝혔습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오늘 삼청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합참 이전 비용이나 관저 신축 비용이 집무실 이전 예산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추계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습니다.

어제 윤 당선인은 집무실 이전 비용을 496억 원으로 추산했습니다.

국방부의 합참 건물 이전 118억 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252억 원, 경호처 이사 비용 99억9천700만 원,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 25억 원이 각각 소요된다는 설명입니다.

여기에는 합참의 이전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김 대변인은 비용 문제와 관련, 청와대 전면 공개의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새 대통령 집무실 건물에 기자실과 민간합동위원회가 함께 들어가는 것을 거론하며 "내각이나 참모 위에 군림하는 대통령이 되지 않겠다는 약속의 방증"이라며 "실질적인 정치 개혁의 시작이 이뤄졌다고 봐달라"고 말했습니다.

국방부 이전 등을 현 정부에 요청할 법적 근거가 있는지와 관련해선 "인수위법 7조를 보면 인수위 업무에 따른 것뿐만 아니라 관계 부처에 협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의 협조와 관련해서도 "특별한 돌출 변수가 생기지 않을 것이란 가정하에 상호 협의가 잘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어제 윤 당선인이 용산 집무실 조감도를 가리키며 벙커나 지하 이동 통로 위치를 언급한 것을 두고 '기밀 누설'이란 지적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선 "광활한 잔디밭을 하나 짚은 것이 보안시설 유출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B2 벙커는 이미 많은 분께 공개됐다. 군 통수권자가 그렇게 소홀하지 않다"라고 반박했습니다.

국방부 이전에 따른 '안보 공백' 우려에 대해선 "군의 특성상 물리적 이동과 관계없이 물 샐 틈 없는 안보 역량 확보가 더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국방부 내에 지휘통제시스템이 있고, 그것은 현재 청와대의 위기관리센터를 바로 대체할 수 있을 정도"라며 "안보 분야에서 공백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새 대통령 집무실 명칭 공모와 관련해선 "조속히 세부 일정을 말씀드릴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세종 제2집무실 설치와 관련해선 "과거 당선인이 공약으로 말한 바 있어 약속을 지킬 것"이라며 "청와대를 나와 정치개혁의 첫 출발을 하겠다는 제1공약을 지킨 것처럼 세종 2집무실도 약속을 지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