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진욱 "수사 · 기소 분리, 공소 유지 어렵단 비판 경청해야"

김진욱 "수사 · 기소 분리, 공소 유지 어렵단 비판 경청해야"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은 오늘(25일) 향후 공수처가 전·현직 대통령의 비위 등 정치적 사건을 수사할 때 받을 외압과 관련 "무슨 일이 있어도 임기를 지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처장은 오늘 오전 열린 관훈포럼 토론회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처럼 사퇴하라는 외압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찬반 진영이 나뉠 수 있겠지만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양쪽 의견을 공개된 자리에서 공평하게 들으며 소통하겠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십수년간 두 번의 대통령 탄핵 때 벌어진 반대 시위가 재현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런 목소리를 경청하며,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대통령의 수사 개입 가능성에 대해 "핫라인은 현재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처장은 '1호 사건' 선정과 관련해 "중립성을 의심받지 않는 사건을 하려고 한다"며 "심의위원회를 둬서 사건 선정에 의견을 들을 생각도 있다"고 했습니다.

선거를 앞두고 영향을 미칠 만한 사건도 최대한 피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최근 '공수처는 연간 수사를 3∼4건 할 수 있을 것'이란 언급과 관련해서는 "특검과 같은 대형 사건을 기준으로 말한 것"이라며 "저희가 대형 사건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공수처 조직에 대해선 "수사·기소의 분리는 시대적인 조류이자 대세"라며 "공수처가 판·검사 등에 대해 수사·기소권을 모두 갖고 있지만, 수사부와 공소부를 분리해 브레이크(제동)을 걸게 하는 통제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공수처 처장·차장이 모두 판사 출신이라 수사 능력에 의구심이 있다는 지적엔 "수사력을 중심으로 검사를 선발할 방침"이라며 "처·차장, 부장검사·검사, 수사관이 하나의 팀으로 일하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수사 1∼3부로 나뉘어 있지만, 사건에 따라 직제나 소속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편성할 것"이라며 "특정 시민단체 출신이 공수처 검사에서 다수를 차지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여야 인사위원들이 면밀히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처장은 또 여권에서 추진하는 중대범죄수사청 설치에 대해선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그는 "어느 날 갑자기 확 바뀌면 변론권 등에 영향을 받으며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며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서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검찰 개혁 시즌2'에 대해서도 "수사 검사가 공판에 들어가지 않으면 공소 유지가 어려워 분리가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은데, 경청할 만하다"며 "수사·기소 분리는 그런 면까지 생각해서 명분과 보완책을 갖추며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과의 갈등을 평가해달라고 하자 "두 분이 가진 각자의 원칙이 인사·수사에서 충돌한 면이 있었다"며 "소통 스타일도 아주 달라 오해가 있었던 것도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김명수 대법원장의 거짓말 논란에 대해선 "사법부의 사태에 굉장히 안타까움을 느끼지만, 수사기관장으로서 왈가왈부할 건 아니다"라고 평가를 피했습니다.

오늘 토론회는 김 처장이 취임한 뒤 처음으로 공개석상에서 공수처 전반에 대해 답하는 자리로, 110분가량 진행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