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란 외무부 "선박 나포 정치화 안 돼…동결자금 해결하라"

이란 외무부 "선박 나포 정치화 안 돼…동결자금 해결하라"
이란 외무장관이 미국의 제재로 한국에서 출금이 동결된 자국 자금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면서, 이란이 나포한 한국 선박 문제에는 정부가 개입할 수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이란 반관영 메흐르 통신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한국 선박 나포와 한국 내 이란 동결 자산 문제 논의차 방문한 한국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자리프 장관은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이끄는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한국 내 동결 자산은 양국 관계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한국 정부가 이를 제거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를 고려할 때 양국 관계의 우선순위는 한국 내 동결된 우리 금융 자산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은행의 불법행위가 이란 국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한국의 이미지 훼손이 심하다"며 "이란 의회 의원들은 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법적인 권리를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란 혁명수비대가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를 나포한 사건에 대해서는 "걸프 해역(페르시아만)의 환경 오염으로 나포된 것으로 사법적 규제의 틀 안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술적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이어 "당연히 이란 정부는 사법 절차에 개입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프랑스가 한국 선박과 선원을 풀어주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서도 이란 정부는 이 문제를 정치화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고 AFP통신은 전했습니다.

사이드 하티브자데 외무부 대변인은 "미국이든 프랑스든 간에 이 사건과 전혀 관련이 없으며 만약 그들이 사안을 정치화한다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과 프랑스는 한국 선박을 풀어주라고 촉구했습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선박 나포와 관련해 "제재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국제 사회를 갈취하려는 명백한 시도"라고 비판했습니다.

프랑스 외무부는 "이번 사건이 중동지역 내 긴장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는 지난 4일 걸프 해역에서 해양오염을 이유로 한국케미호를 나포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케미의 선주사인 디엠쉽핑은 해양오염 혐의를 전면 부인했으며, 한국인 5명 등 선원 20명은 이란 남부 반다르아바스 항에 억류 중인 한국케미 선내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란이 한국케미를 나포한 배경으로 꼽히는 한국 내 이란 자금은 70억 달러(약 7조6천억 원)로 추정됩니다.

이란은 2010년 이란 중앙은행 명의로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에 원화 계좌를 개설하고 이 계좌를 통해 원유 수출 대금을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2018년 이란 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려 이 계좌를 통한 거래가 중단됐으며, 이란 정부는 이 동결 자금을 해제하라고 요구해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한국케미 나포와 이란 동결 자금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최 차관을 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이란에 파견했습니다.

한국 대표단은 전날 세예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과 회담했으나, 한국 측은 선박과 선원의 조속한 억류 해제에 우선순위를 둔 반면, 이란 측은 동결 자금 사용 문제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표단은 자리프 장관을 만나기에 앞서 압돌나세르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를 만났으나, 그 역시 "이란의 자산을 동결한 것은 큰 실수이며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