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통합당, 구원투수로 '다시 김종인' 등판 요구…비대위 난제 산적

통합당, 구원투수로 '다시 김종인' 등판 요구…비대위 난제 산적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수습을 위해 결국 '김종인 비대위'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이번 총선을 총괄 지휘했던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을 구원투수로 재등판 시켜 당 수습과 쇄신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오늘(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 14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취합한 결과 김종인 비대위에 다수가 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통합당이 김 전 위원장을 재영입한 것은 총선에서 '지역구 84석'이라는 역대급 패배를 겪은 이후 당 재건이 최우선이라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된 데다, 김 전 위원장 외 당을 수습할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감안한 것으로 보입니다.

총선을 이끌었던 김 전 위원장은 엄밀히 따지면 '패장'에 속합니다.

하지만 공천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고 선거전 막판 2주간 선대위원장을 맡았기 때문에 당을 일으키기엔 시간과 당의 역량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게 당 안팎의 중론입니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한다면 활동 기한을 못박지 않은 채 전권을 가지고 비대위 체제를 운영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김 전 위원장은 오늘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가 없다"며 사실상 '무기한·전권'을 비대위원장 수락 조건으로 제시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은 또 "결국은 대선이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비대위) 일을 해주고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대통령 임기가 2년밖에 안 남았고, 내년 3∼4월 이후부터는 대선 후보 선정 등이 시작될 수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총선 후 당 쇄신은 물론이고 2022년 대선국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킹 메이커'의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그러나 김종인호 비대위가 성공하기까지 난제는 산적해 있습니다.

우선 김종인 비대위를 이끌어낸 당내 설문조사의 대상에 낙선자를 비롯한 20대 국회의원이 포함됐다는 점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총선 당선자들 중 일부는 당선인 총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낙선자들을 제외하고 당선인 총회에서 당의 향후 지도체제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 설문조사 결과도 김종인 비대위 찬성이 43%, 조기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의견이 31%로 집계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압도적 다수가 찬성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김종인 비대위 출범 후에도 조기 전대 여론은 지속적으로 분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인명진 비대위 당시 원내대표를 맡았던 정우택 의원은 오늘 언론 통화에서 "김 전 위원장에게 연말까지 모든 권한을 주고 당 체질을 바꿀 수 있다면 찬성"이라며 "하지만 여러 차례 비대위를 겪어보니 의원들이 (비대위 체제를) 참지 못한다. 이번에 다수결로 정해도 당선인들의 불만이 크면 몇개월 지나 비대위가 또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당 안팎에서는 공천권 등 '휘두를 칼'이 없는 비대위가 당 혁신에 성공할지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통합당의 전신 정당에서 최근 유일하게 성공한 비대위로 평가받는 2012년 새누리당(통합당 전신) 박근혜 비대위의 경우 박근혜 당시 비대위원장 스스로가 차기 대선 유력 주자였고, 19대 총선 공천권을 쥐었기 때문에 비대위를 통한 쇄신이 가능했다는 것입니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김병준 비대위를 8개월간 했고 혁신안도 나왔지만 지금 그걸 아는 사람이 있는가"라며 "혁신안은 다 나왔다. 실천만 하면 되는데 외부인이 또 왜 필요한가"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