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종인 "조기 전당대회 전제라면 통합당 비대위원장 할 수 없다"

김종인 "조기 전당대회 전제라면 통합당 비대위원장 할 수 없다"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은 오늘(22일)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은 오늘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통합당 당헌·당규상 규정된 '8월 31일 전당대회' 규정을 겨냥한 것으로,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 전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결국은 대선이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비대위) 일을 해주고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대통령 임기가 2년밖에 안 남았고, 내년 3∼4월 이후부터는 대선 후보 선정 등이 시작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 총선 참패 원인으로 공천, 막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 등을 꼽았습니다.

그는 "잡음이 있었던 공천이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선거전에 들어가서는 황교안 전 대표의 n번방 발언과 김대호·차명진 후보의 막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처리를 미루면서 유권자들에게 실망을 줄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니 정부의 역할이 높이 평가되는 상황도 나타났다"며 "특히 재난지원금을 준 것 자체가 유권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에 대해서는 "합칠 수도 있고, 합치지 않고 갈 수도 있지만 명목상 (미래한국당이) 정당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며 "제가 보기엔 빨리 합친다고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닌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이 당을 새롭게 창당하는 수준에서 지금까지 잘못을 국민에게 솔직히 시인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한 뒤 다음 해야 할 일을 설정해야 한다"며 "국민이 더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당명으로 바꾸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