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반환 미군기지 국가주도개발 촉구"…경기북부 업무협약

<앵커>

경기북부 지자체들이 반환 미군기지의 국가주도개발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서쌍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동두천과 의정부, 파주시는 대규모 미군 부대가 주둔했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반환 미군기지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를 이들 시장과 도지사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미군 부대 재편 이후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도시는 동두천입니다.

관내에 주둔하던 2만여 명의 미군이 대부분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지역 경제기반이 사실상 무너졌지만, 기지 반환은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시는 절박합니다.

[최용덕/동두천시장 : 땅의 68%가 산악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땅은 공여지로 묶여 있습니다. 개발하지 못하면 동두천시는 소멸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이재명 도지사와 동두천, 의정부, 파주시장이 어제(29일) 경기북부청사에서 이런 반환 미군기지의 국가주도개발을 촉구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지사는 서울 용산기지는 국가 예산으로 개발해 시민에게 반환해주는 상황이라며 공여지 개발의 불공정성을 제기했습니다.

[이재명/경기도지사 : 각자(지자체가) 땅 사서 알아서 개발해라 이런 방향으로 가다 보니까 실제로는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된 것 같습니다.]

경기도의 반환 대상 미군 공여지는 172.5㎢로 전국의 96%를 차지하고 있고, 이 가운데 86%는 북부에 집중돼 있습니다.

반환대상 기지 22곳 가운데 6곳은 아직 돌려받지도 못했고, 이미 돌려받은 기지도 방대한 면적과 비싼 땅값 등으로 지자체가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경기도와 지자체는 협약 체결을 계기로 행안부에 공여지 개발 전담기구를 설립하도록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공여지 개발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

파주시가 내일(31일) '개성공단 복합물류단지' 계획에 대한 합동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개성공단 복합물류단지는 자유로 성동IC 인근에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물류기지 역할을 할 21만여㎡의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설명회에서는 복합물류단지 계획과 환경영향평가, 교통연계 대책 등을 공개하고 주민 의견을 들을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