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 80% "친일잔재 아직 청산되지 않았다"

국민 80% "친일잔재 아직 청산되지 않았다"
국민의 80%는 "친일잔재가 아직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민 다수가 3.1운동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유관순을 꼽았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 이미지로는 김구를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국민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3.1운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로는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절반 가까운 43.9%가 유관순이라고 답했으며, 대한독립만세(14.0%), 독립·해방·광복(9.6%)이 뒤를 이었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로는 31.4%가 김구를 들었으며 상해(11.4%), 이승만(2.7%) 순이었습니다.

3.1운동 정신 핵심으로는 다수인 42.9%가 '자주독립'을 꼽았으며 그 다음은 애국·애족(24.3%)이었습니다.

3.1운동 정신 계승 방법으로는 '친일잔재 청산'(29.8%), '역사 교과서에 3.1운동 내용 보완'(26.2%) 등의 순으로 답했습니다.

친일잔재 청산 여부에 대해서는 절대다수인 80.1%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별로 청산되지 않았다'(49.3%)와 '전혀 청산되지 않았다'(30.8%)를 합한 수치입니다.

'청산되었다'는 답변은 15.5%에 그쳤습니다.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절반인 48.3%가 '정치인·고위공무원·재벌 등에 친일파 후손들이 많아서'라고 답변했습니다.

3.1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묻는 질문에는 '독립에 대한 민족의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림'이 41.2%로 다수였으며, '본격적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시작'(19.4%)이란 답변도 많았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가장 큰 역사적 가치로는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의 구심점 역할'(29.0%),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설립'(28.0%) 순으로 답했습니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는 69.4%가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호감이 간다'는 답변은 19.0%에 머물렀습니다.

'호감이 간다'는 응답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는데, 19~29세는 33.3%, 30대 20.3%, 40대 16.4%, 50대 15.7%, 60대 이상 12.9% 순이었습니다.

일본과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위해서는 '사죄와 보상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답변이 40.6%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역사 공동연구'(25.4%)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