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흥국 금융 불안 지속 전망…중국 경기둔화 시 영향 클 듯"

"신흥국 금융 불안 지속 전망…중국 경기둔화 시 영향 클 듯"
신흥국 금융불안이 미국 금리인상 기조와 맞물려 지속되고, 특히 중국 경기둔화 우려가 심화하면 부정적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한국은행이 '해외경제포커스'에 게재한 '과거 사례와 비교한 최근 신흥국 금융불안의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신흥국 금융시장은 2월에 주가가 약세국면으로 전환한 뒤 빠르게 하락하고 채권 부도 가능성이 커지면서 채권 값도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달러화 강세로 해외자본 유출압력이 커졌기 때문으로 국제통화기금, IMF 추정으로는 미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한 신흥국 자본유출 규모가 올해와 내년에 900억 달러에 이릅니다.

이와 함께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도 영향을 줬는데, 세계교역 및 투자 감소,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으로 이어지며 원자재와 중간재 수출이 많은 신흥국 성장에는 부정적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몇 차례 금융불안 때와 비교하면 금융지표 변동성이 작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미국 금리인상이 이미 예견된 사안이어서 정책 불확실성이 작기 때문으로, 또, 중국 실물과 금융경제상황이 크게 악화하지 않은 점도 한 요인입니다.

다만, 예전과는 달리 국가별로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고 한국은행은 분석했습니다.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남아공 등의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는 반면, 태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은 안정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장률이 낮거나 재정·경상 적자가 만성적이고, 외채 비중이 높은 취약국가는 영향을 크게 받은 겁니다.

한은은 "성장률은 높지만 외채 비중이 50%가 넘는 터키에서 금융불안이 촉발된 점은 달러화 강세 기조가 이번 금융불안의 주된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조사국은, "앞으로도 미 금리인상 기조와 함께 취약국 중심의 신흥국 금융불안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중국 경기둔화 우려가 심화하면 변동성이 2013년 긴축발작이나 2015년 중국 경기둔화 때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양호한 외환부문 건전성 등으로 대외리스크 위험 노출도는 낮은 수준이지만 대외부문 잠재 리스크가 작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