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9월 이동 시작 철새 올해 40만 마리…"AI 방역체계 개선해야"

9월 이동 시작 철새 올해 40만 마리…"AI 방역체계 개선해야"
9월 말 본격적으로 이동을 시작한 철새가 올해는 40만 마리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이에 따라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회 농해수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전남 영암·무안·신안) 의원은 26일 농림축산식품부 및 소관기관 종합 국정감사에서 본격적인 철새 도래 철을 맞아 일부 지역 철새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등 AI 발생여건이 높아졌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지난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철새 도래가 시작되고 있으며 예년과 비슷한 40만 개체 정도가 이동해 올 것으로 환경부에서 예측했다"고 밝혔다.

도래한 철새의 분변에서 H5형 항원이 4건 발생했지만, 지금까지는 모두 저병원성으로 밝혀졌다고 서 의원은 설명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보면 국내 도래하는 철새의 주요 번식지인 러시아에서 AI 발생이 지난해 36건에서 올해 10월 현재 81건으로 131%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대만, 러시아 등 34개국에서는 490건의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그중 66%가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H5N6형이나 H5N8형과 일치한 것으로 나타나 시한폭탄을 안고 있는 형국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1일부터 내년 2월 1일까지 특별방역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 지자체와 월 2회 영상회의를 개최, 전염병 긴급행동지침(SOP)에 의거 단계별 방역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서 의원은 "영상회의 시에는 사육농가의 경각심을 높이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사육농가 대표 등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령자 등 취약농가 1천807명에 대해 일선 지자체 공무원 전담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현실은 연말을 맞아 본연의 업무 추진으로 형식적인 근무에 임할 수밖에 없다"면서 "전문 방역단 운용 등 책임감 있는 대책을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서 의원은 매년 되풀이되는 AI 대책에 대해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