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온난화에 바다 생선 어획량도 변화…명태 어획량 '뚝'

<앵커>

경제 소식, 정경윤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네, 안녕하십니까.)

온난화 때문에 바다 생선 어획량에도 많은 변화가 있네요?


<기자>

네, 우리나라 바다 표층 온도는 지난 50년 동안 평균 1.1도 올랐는데요, 그런데 명태 어획량은 1만분의 1로 줄었습니다.

<앵커>

명태가 국민 생선이었는데, 요즘 어획량 보면 이제 그렇게 부를 수가 없을 것 같네요.

<기자>

네, 명태는 동해에서 주로 잡히는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입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1만3천 톤 정도가 잡혔고 80년대에는 2만 8천 톤까지 크게 늘었습니다.

그러다 2000년대 후반부터 지난해 1톤으로 떨어졌습니다.

명태 만이 아니라 꽁치, 도루묵, 이런 한류성 어종도 마찬가지입니다.

꽁치는 70년대에 2만 5천톤 정도 잡히던 게 지난해 757톤으로 떨어졌고, 도루묵도 1만 6천 톤에서 5천 톤으로 겨우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명태 어획량에 대해서는 수온 말고 다른 의견도 있는데요, 90년대까지 동해에서 잡은 전체 명태 중에서 치어, 즉 노가리가 68% 정도에 달할 정도로 노가리를 무분별하게 잡았거든요.

그러다 보니 사실상 씨가 마른 게 아니냐는 얘기도 있습니다.

여기에 수온 영향까지 받다보니 이제는 식탁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생선이 됐습니다.

<앵커>

명태나 꽁치가 동해에서 사라졌다면, 반대로 온도가 올라서 많이 잡히는 생선도 있는 거겠죠?

<기자>

네, 동해에 한류성 어종이 줄었다면, 반대로 난류성 어종은 서식지가 늘어난 셉입니다.

난류성 어종의 대표적인 생선이 고등어, 멸치 전갱이류입니다.

동해에서 가장 눈에 띄게 늘어난 게 전갱이류인데요, 70년대 21톤이었는데 지난해 2천 3백톤까지 늘었습니다.

난류성 어종 어획량은 전국적으로 늘었는데요, 멸치나 고등어는 원래 남해안이 주 서식지인데, 이제 모든 해역, 동해, 서해로 어장이 늘면서 어획량도 늘었습니다.

그런데 같은 난류성 어종이라도 살오징어는 사정이 좀 다른데요, 살오징어가 우리가 주로 먹는 그 오징어입니다.

원래 울릉도에서 많이 잡히는 것으로 유명하죠. 그런데 살오징어 어획량은 90년대 25만 톤까지 올랐다가 지난해 8만 톤으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어획량이 늘었는데, 최근 동해 북쪽, 한일 공동수역 해역까지 중국어선들이 나타나서 불법 조업을 하면서 어획량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