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미회담 결국 싱가포르서…남북미 종전선언은 판문점서 할까

북미회담 결국 싱가포르서…남북미 종전선언은 판문점서 할까
'한반도의 봄'을 이끌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싱가포르가 확정되면서 이후 열릴 것으로 보이는 '세기의 이벤트' 남북미 정상회담이 어디에서 개최될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미정상회담의 판문점 개최가 무산됐지만, 남북의 접경지역인 판문점이 북미회담 개최지로 꾸준히 거론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종전선언 이슈가 다뤄질 남북미 정상회담 장소로는 판문점 카드가 여전히 유력하게 거론되는 국면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담판' 장소로 판문점을 기대했던 청와대는 아쉬움을 피력하면서도 남북미 정상회담만은 판문점에서 열릴 수 있기를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

일단 청와대는 싱가포르 북미회담이 발표된 어젯밤(10일) 김의겸 대변인 명의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를 기원한다"는 환영 입장을 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오늘 기자들과 만나 "분단의 상징으로서 판문점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하고 있는 우리 입장으로서는 판문점이 좀 더 낫지 않았나 싶다"는 속내를 털어놨습니다.

다만 "북한과 미국의 입장이니 존중한다"고 했습니다.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날짜가 확정된 것은 환영할 만하지만 판문점 개최가 무산된 데 대한 아쉬움을 드러낸 것입니다.

실제로 청와대는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사상 첫 북미 간 비핵화 정상회담이 열리면 세계 유일의 냉전 지대인 한반도를 평화의 땅으로 각인시킬 수 있다고 판단, 이를 북한과 미국 측에 조심스레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남북정상회담 성공을 고스란히 판문점 북미회담으로 연결한다면 연이어 같은 장소에서 남북미 정상회담까지 '원샷'으로 내달릴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화해 모멘텀을 상실하지 않고 속도전으로 가겠다는 의지인 셈입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판문점을 회담 개최 후보지로 공식 거론하며 고민의 일단을 드러냈지만 이미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으로 '신선도'가 떨어지고 만에 하나 회담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닥칠 후폭풍을 우려해 판문점을 배제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일단 판문점이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배제됐지만, 종전선언을 위한 남북미 정상회담 카드로 유효하다는 분석이 적지 않습니다.

종전선언을 주제로 한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린다는 것은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는 뜻이고, 그렇다면 정전협정을 체결한 곳에서 종전선언을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에서 판문점 만한 곳이 없다는 논리에는 북미 모두 동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 판단의 근거로 제시됩니다.

다만 애초 청와대의 구상과 달리 북미회담이 판문점이 아닌 제3의 장소에서 열리는 만큼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입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판문점에서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남북미 회담으로 자연스레 연결되겠지만, 싱가포르에서 북미회담을 하고 그 자리에서 바로 남북미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에 남북미가 모여 종전선언을 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