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값 떨어질까 봐"…화재 취약 외장재 건물 알고도 '쉬쉬'

<앵커>

지난 6월 런던에서 발생한 화재 참사 이후 정부는 고층건물의 외장재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였는데요, 그 결과 불에 잘 타는 외장재를 사용한 건물 135동을 파악했는데, 정작 그 내용을 입주자는 물론 지자체나 소방당국에도 알리지 않고 있습니다.

한승환 기자가 그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6월 8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영국 런던의 그렌펠 아파트 화재.

국토교통부는 우리도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전국의 30층 이상 고층 빌딩을 모두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불에 잘타는 가연성 외장재를 쓴 건물 135동을 확인했는데, 이 정보를 소방당국이나 지방자치단체, 입주민에게 알리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012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가연성 외장재의 사용이 금지됐지만 그 이전에는 제한이 없었던 만큼 괜한 불안감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하지만 방재나 화재 진화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리지 않는 건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발을 고려한 측면도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 국민의 재산권하고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목록을) 요청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지자체에서도 민감한 사항이라는 걸 잘 아시니까요.]

[정종섭/자유한국당 의원 (국회 국토위) : 국토부에서 조사한 내용을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정보공유를 해서 여기에 대해 대응방법도 협의해서 효과적인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계속되는 지적에 국토부는 가연성 외장재를 쓴 고층 건물을 대상으로 추가 조사를 실시해 기준에 미치지 않는 건물 명단을 각 지자체와 공유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