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류현진의 승부수, '느린 공, 또 느린 공'

[취재파일] 류현진의 승부수, '느린 공, 또 느린 공'
투수의 구종 선택은 그야말로 개인 취향이며 경기마다 다르다. 하지만 리그 전체적으로 보면 어느 정도 합의된 ‘공감대’가 있다. ‘빠른 공’을 ‘느린 공’보다 많이 던진다는 거다.

야구 통계 사이트 ‘브룩스베이스볼’의 기준에 따라, 구종들을 ‘빠른 공 Hard'과 '느린공 Breaking 혹은 Offspeed’으로 나눠 보자.

빠른 공 : 포심-투심-싱커-커터
느린 공 : 슬라이더-커브-체인지업-스플리터*-기타 변화구

올 시즌 국내 프로야구에서는 전체 투구의 54.5%가 ‘빠른 공 계열’이다. 즉 45.5%가 느린 공이다. 이 조합은 해마다 거의 비슷하다. 메이저리그에는 우리보다 빠른 공이 조금 더 많다. 빠른 공과 느린 공의 분포가 정확히 6대 4다. 일본도 미국과 비슷하다. 빠른 공 59.7%, 느린공 40.3%다. 어쨌든 세 나라 모두 ‘빠른 공을 느린 공보다 많이 던진다’가 투구의 정석이다.

예전에는 류현진도 그랬다. 메이저리그 평균보다는 적었지만, 빠른 공을 느린 공보다 많이 던졌다. 하지만 올해는 다르다. 정석과는 완전히 반대로 던지고 있다.
 
<류현진 연도별 구종>
  빠른 공 계열 느린 공 계열
2013년 53.8% 46.2%
2014년 53.0% 47.0%
2017년 38.9% 61.2%

올해 슬라이더와 커브, 체인지업 등 느린 공의 비중은 61.2%. 즉 빠른 공은 38.9%에 불과하다. 올 시즌 메이저리그에서 류현진보다 느린 공을 많이 던지는 선발투수는? 너클볼 투수 R.A 디키 한 명 뿐이다. 즉 현재 류현진은 메이저리그의 ‘보통 투수들’ 중에 (‘너클커브 혁명’의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휴스턴의 랜스 맥클러스와 함께) 느린 공을 가장 자주 던지는 투수다.
 
<메이저리그의 '느린 공 투수들 - 40이닝 이상>
이름 느린 공
R.A 디키 85.2%
류현진 61.2%
랜스 맥클러스 61.2%
브론슨 아로요 59.85
앤드루 트릭스 58.2%

추정해볼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다.

1. ‘느려진 빠른 공’을 자주 던지기 부담스러울 것이다.

현재 류현진의 포심 패스트볼 평균 시속은 89.6마일. 수술 전보다 1마일 이상 느려졌다. 포심 패스트볼의 피안타율은 0.353, 장타율은 0.794에 이른다. 당연히 덜 던지는 게 상책이라고 생각했을 거다.

2. 팀 동료들에게 배웠다.

LA 다저스 투수진은 뉴욕 양키스 다음으로 느린 공을 많이 던지고 있다. 올 시즌 다저스 투수들이 던진 공의 45.8%가 느린 공이다. 슬라이더만 65.4%를 던지는 세르히오 로모, 커브만 53.5%를 던지는 리치 힐, 그 힐보다 느린 공을 더 많이 던지는 마에다 켄타, 심지어 그 위력적인 포심 패스트볼을 47.9%밖에 안 던지는 에이스 클레이튼 커쇼까지. 정석에서 벗어난 ‘변화구 애호가’들이 즐비하다.

이들 모두는 원래 많이 던지던 느린 공을 올 시즌에 더 늘렸다. 변화구를 많이 던지는 게 좋다는 동료 투수들과 그 공을 받는 포수들의 생각은, 류현진에게 당연히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요즘 류현진은 느린 공을 점점 더 늘리고 있다. 최근 두 경기에서 빠른 공 비율이 20%대에 그쳤다. 즉 70% 이상을 느린 공으로 던졌다. 그리고 10이닝 동안 한 점만 내주는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정석에서 벗어난 극단적인 ‘느린 공 승부’는 부활의 열쇠가 될 수 있을까.

**스플리터는 ‘스플릿핑거 패스트볼’의 별칭이다. 즉 이름만 보면 ‘빠른 공 계열’이다. 하지만 공의 속도와 쓰임새는 ‘느린 공’에 훨씬 가깝다. 패스트볼보다는 체인지업과 속도가 비슷하다. 그리고 주로 스트라이크존 아래로 떨어뜨려 헛스윙을 유도하는 데 쓴다. 그래서 ‘브룩스베이스볼’에서도 스플리터는 ‘Offspeed' 계열로 분류하고 있다.
 
(자료출처 : fangraphs.com, brooksbaseball.net, 일본 Essence of Baseball, statiz.com)
(사진=게티이미지/이매진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