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2015시즌, '삼진의 시대'

[취재파일] 2015시즌, '삼진의 시대'
5월까지 KBO리그에서는 19917명의 타자들이 타석에 들어섰다. 이 중 19.3%인 3853명이 삼진으로 물러났다. 이건 엄청난 기록이다. 프로야구 34년 역사상 최고치다. 종전 삼진 비율 최고 시즌이던 2002년보다 1.6%나 높다.
취재파일

팀별로 살펴봐도 역사적인 기록들이 쏟아지고 있다. 삼성 투수진의 탈삼진 비율은 22.9%로 사상 최고기록을 찍고 있다. 21%의 넥센이 역대 3위, 20.8%의 SK는 역대 4위다.
취재파일

타자 쪽도 마찬가지다. 올 시즌을 치르고 있는 팀들이, 역대 최고 삼진 비율 상위권을 점령하고 있다.
취재파일

메이저리그처럼 스트라이크 존이 커졌기 때문일까? 아닐 가능성이 높다. 상식적으로 스트라이크존이 커졌다면 볼넷 감소가 동반되어야 한다. 올 시즌 볼넷 비율은 9.9%. 지난해의 9.5%보다 오히려 늘었다.

신생팀 KT의 1군 데뷔 때문일까? 타자 쪽만 보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다. KT 타자들은 21.5%의 삼진 비율로 역대 2위니까. 그런데 KT 투수들을 고려해야 한다. KT 투수들의 탈삼진 비율은 18%로 리그 최하위다. 즉 KT 때문에 삼진이 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타자들이 삼진을 각오하고 장타를 추구하는 걸까? 롯데와 넥센을 제외하고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역대 최다 삼진 비율 2, 3위인 KT와 LG의 장타율은 각각 리그 10위와 9위다.
 
잠정적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투수 쪽에 있다. 지난해 뛰지 않았거나 기용 빈도가 적었던 '탈삼진 전문가'들의 이닝이 늘어났다. 현재 40.2%의 삼진 비율로 선동열-오승환을 제치고 역대 최고치를 찍고 있는 정우람, 뒤늦게 잠재력을 꽃피운 심수창이 대표적이다. 탈삼진형 불펜요원이던 차우찬과 한현희는 선발로 전환해 투구이닝이 늘었다. 100타자에 조금 모자라 아래 표에 빠진 NC의 새 마무리 임창민(38.5%)과, 롯데의 새 셋업맨 이성민(31.5%)도 엄청난 탈삼진 비율을 기록 중이다.
취재파일

역사적인 삼진 퍼레이드 속에, 지난해 역대 최고였던 타고투저 현상이 조금 완화됐다. 지난해 11.2점이던 경기당 득점이 10.4점으로 하락했다. 작년에 '너무 심한 난타전이 재미없다'고 느꼈던 많은 분들이, 올 시즌을 조금 더 재미있게 느낄 잠재적 이유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