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둘러싼 몇가지 오해

나한테 맞는 적정 요금제 찾는 방법은?

[취재파일]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둘러싼 몇가지 오해
이동통신 3사가 이른바 '데이터 중심 요금제'라 불리는 새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과연 어떤 요금제인지, 뭐가 달라진 건지, 바꾸는 것이 좋은지 저한테도 물어보는 분들이 많은데 몇가지 오해가 있는 것 같아 정리해 봤습니다.

① 통신요금 30년만에 전면 개편?

새 요금제 출시로 모든 이용자의 요금제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바뀐다고 이해하는 분들도 있는데 그건 아닙니다. 그저 소비자가 선택가능한 또 한 종류의 요금제가 생긴 겁니다. 기존에 있는 많은 요금제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만 소비자의 선택지가 넓어진 겁니다.

② 음성·문자는 공짜? 진짜 무제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음성, 문자는 '공짜'로 제공한다는 인식도 있는데 이 역시 오해입니다.  통신3사가 이번에 내놓은 요금제 가운데 최저가는 월 29,900원 짜리 입니다.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면 월 32,890원 입니다. 이 요금제로 음성과 문자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대신 데이터는 300MB만 제공합니다. 만약 세간의 오해처럼 음성과 문자가 '공짜'라면 불과 300MB의 데이터를 쓰기 위해 한달에 3만 2천원을 지불하는 셈이 됩니다. 이 요금을 내면 음성과 문자를 무제한 쓸 수 있다는 것이지 공짜는 아닙니다. 
취재파일

그리고 엄밀히 말하자면 음성과 문자도 진짜 '무제한'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통신사에서 사용량을 제한합니다.

 - 1일 600분을 초과하는 음성통화를 월3회 초과 발신한 경우
 - 월 음성통화량이 6,000분을 초과할 경우
 - 음성통화 수신처가 월 1,000회선을 초과할 경우
 - 1일 500건 초과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한 경우
 - 1일 150건을 초과하는 문자메시지를 월 10회 초과 발송한 경우

③ 지금까지 없던 완전 새로운 요금제?

데이터 중심 요금체계는 말 그대로 데이터의 제공량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고 음성과 문자는 기본적으로 무제한인 요금체계를 말합니다. 아래 예로 든 KT의 기존 요금체계에서 보듯 5만원 이상의 요금제에서는 이미 적용돼 온 방식입니다. 이번에 달라진 것이라면 3-4만원대 요금제에도 음성 무제한이 적용됐다는 점입니다.
취재파일

④ 데이터는 적고 음성통화 많으면 무조건 갈아타는게 좋다?

가장 중요한 점은 과연 이 새로운 요금제로 갈아타는 것이 소비자에게 유리하냐 불리하냐는 겁니다. 흔히 데이터 사용량이 적고 음성통화량이 많은 소비자면 갈아타는게 좋다고 설명하는데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쉽게 말하자면 데이터 사용량이 극히 적고, 음성통화량이 매우 많은 경우라면 유리할 수 있다는 겁니다. 정부나 이통사가 '택배기사'나 '영업직'을 예로 드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우리나라 이동통신 가입자의 한달 평균 음성통화량은 199분, 데이터사용량은 2.3GB라고 합니다. 이 평균 이용자를 기준으로 요금제를 선택한다고 할때 , 통신3사의 기존 요금체계와 새 요금체계를 비교해 봤습니다.
취재파일

보시는 것처럼 기존 요금체계에서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새 요금체계보다 적게는 3천원, 많게는 1만원 이상 저렴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런 내용이 맞는지 통신3사의 확인을 거쳤습니다). 무조건 새 요금제로 옮긴다고 해서 이득이 아니라는 이야깁니다.

결론적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 출시의 의미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늘어났다는 의미입니다. 보통은 내가 한달동안 쓰는 평균 통화량과 데이터량이 얼마인지 잘 따져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요금제가 다양화된 상황에서는 평균 사용량을 꼭 확인해 적절한 요금제를 찾아 쓰는게 낭비를 피할 수 있는 길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찾는 것도 어렵지 않습니다. '스마트초이스' 홈페이지나 각 이통사 홈페이지를 활용하면 자신의 실제 평균 사용량에 맞는 요금제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스마트초이스 : http://www.smartchoice.or.kr/
취재파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