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독야청청' 삼성 투수진

험악한 '타고투저' 시대를 지배하는 삼성 마운드

[취재파일] '독야청청' 삼성 투수진
"경쟁이 치열해질 수록 최상위 선수와 최하위 선수의 격차는 줄어든다"
진화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의 명저 '풀하우스'와, 정재승 교수와 열혈 야구팬들이 함께 쓴 '백인천 프로젝트'에서 거듭 확인하는 명제다. 시즌 타율 4할이나 80홈런의 타자나, 0점대 방어율의 선발투수, 7할 승률의 팀이 사라져가는 이유다. 한 명의 천재, 혹은 슈퍼 강팀이 말도 안 되는 기록을 남기며 리그를 지배하는 건 고교야구나 만화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은 선수들이, 더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프로리그에서는 선수와 팀간의 전력차가 갈수록 줄어든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올 시즌 삼성 투수진의 위력은 더욱 놀랍다.
올 시즌 프로야구에서 각 팀들은 경기당 5.66점을 내주고 있다. 지난해보다 22%나 증가했고, 한국 프로야구 역대 최고치다.  미국 메이저리그의 역대 최고치는 1930년의 5.55점이다.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리그는 1950년 5.00점을 찍은 뒤 한 번도 5점대를 넘어서지 못했다. 퍼시픽리그는 2004년의 5.20점이 역대 최고치다. 즉 우리는 세계 프로야구사에 유례를 찾기 힘든 타고투저 현상을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런 험악해진 환경 속에서도, 삼성 마운드는 '독야청청'하다.어제 KIA에게 한 점만 내주며 팀 평균자책점이 3.95로 떨어져 시즌 처음으로 3점대로 진입했다.지난해보다 리그 평균자책점이 20%나 치솟고, 다른 8개팀의 평균자책점이 모두 지난해보다 악화된 상황에서, 삼성만 지난해의 3.98에서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삼성의 팀 평균자책점 3.95는 리그 전체 평균자책점 5.19의 76.1%에 불과하다.
21세기 들어, 리그 전체와 비교해 이렇게 '홀로 독보적으로 잘 던지는' 투수진은 없었다.

연도 평균자책점 리그 전체 평균자책점 리그 평균 대비
2014 삼성 3.95 5.19 76.1%
2009 SK 3.67 4.80 76.5%
2008 SK 3.22 4.12 78.2%
2011 삼성 3.35 4.14 80.9%
2010 SK 3.71 4.58 81%
2005 두산 3.42 4.22 81%

삼성 투수진의 삼진과 볼넷 비율은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다. 이것만으로도 놀라운 일이다. 더 경이로운 건, 경기당 피홈런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경기당 홈런이 지난해보다 35%나 증가한 리그 환경에서, 삼성만 홈런을 덜 맞고 있는 것이다.

경기당 홈런 리그 전체 삼성 경기당 피홈런
2013년 0.69 0.77
2014년 0.94 070

삼성 투수 개개인의 기록을 보면, 올해 '유레카적 기량 향상'을 맞은 투수는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 '예년처럼' 던지고 있다. (물론 올 시즌에 '예년처럼' 던지는 건 놀라운 일이다) 지난 시즌 삼성팬들의 속을 시커멓게 만들었던 '로드리게스-카리대' 콤비 대신 마틴이 가세한 점 정도 외엔 인력 보강을 통한 마운드 향상도도 보이지 않는다. 임창용의 가세했지만 오승환이 떠났다. 즉 '팀 투수진 향상의 일등공신'이라 할만한 선수한 두 명을 꼽기란 불가능하다.

즉 삼성 마운드는 특정 선수의 대활약 없이 '역대급'으로 리그를 압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투수진 전체가 이 험악해진 환경을 헤쳐나갈 방법을 찾아내고 공유한 게 아닐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