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데스크칼럼] '주신구라(忠臣藏)'는 일본 복수의 상징

[데스크칼럼] '주신구라(忠臣藏)'는 일본 복수의 상징
꽤 오래 전 우리나라에도 소개됐던 '전차남(電車男)'이란 일본 영화가 있다. 영화 속 주인공은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오타쿠'지만, 전차 안에서 부잣집 아가씨가 치한에게 희롱 당하는 모습을 보고 치한들에게 그만두라고 말한다. 이 장면은 일본에서 한동안 화제가 됐다. 이런 일은 일본 사회에서 일종의 간섭, 즉 '은혜를 입히는 행위'로서 암묵적으로 금지돼 있었기 때문이다. '전차남'은 그런 금기를 깼던 영화다. 일본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행위는 '덕(德)'이 아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은혜를 입었을 때 거기에 대한 '보은(報恩)'은 덕으로 간주된다. 은혜는 '보은'이 전제되기 때문에 그것을 베푸는 것도 신중해야 하는 것이 일본의 룰이다.

이렇게 사려깊은(?) 일본인들이지만, 배신이나 모욕을 당했다고 느꼈을 때는 반드시 복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복수는 미화되고 칭송된다. 우리나라의 '춘향전' 같은 일본의 대표적 고전문학, '주신구라(忠臣藏)'는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다. 사무라이 47명이 죽은 주군을 위해 복수하는 내용인데, 일본의 국민성과 문화속에 숨어있는 무사도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연말이 되면 '주신구라'에 관한 이야기가 각 미디어를 통해 쏟아져 나온다.

내용은 이렇다. 도쿠가와 막부 전성기인 1701년 3월 14일, 일본 중부의 작은 지방 '아코'의 젊은 영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가 거물급 영주인 기라 고즈케노스케에게 칼을 휘두른다. 이로 인해 아사노는 할복의 명을 받게 되고, 주군을 잃은 그의 부하들은 1년 뒤 그 복수를 하고 전원이 할복자살한다. '주신구라'는 복수를 금한 체제에 대한 반역의 드라마이기도 하고, 주군의 원수를 갚는 충성스런 부하들의 드라마이기도 하며, 체제에 대한 충성심이 투철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칼의 문화'에 담겨진 일본의 정신을 그대로 재현한 '주신구라'가 일본인의 정신 형성에 끼친 영향력은 실로 대단하다. 종전 후 맥아더는 일본 땅에서 '주신구라'의 상연을 금지시켰다. '주신구라'를 민주주의에 반하는 위험사상으로 받아들였던 것인데, 미 점령군은 일본인들이 자신들을 욕보인 맥아더 장군에게 복수할 지 모른다고 우려했을 정도다.

아직까지도 최고의 일본문화론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은 일본인들의 이런 복수관을 '기리(義理)'라는 용어로 정리했다. 일본인들은 무사도와 천황제에 '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모욕하지 말 것을 루스 베네딕트는 충고했다. 전후 미 점령군이 천황제를 존속시킨 것도 이런 영향이 컸다.

수산물 캡쳐_500
2020년 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앞두고 일본의 신경이 가장 곤두섰던 지난 6일, 우리나라는 일본 수산물에 대한 전면 수입금지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이 좀 더 과학적으로 판단하라"고 완곡하게 불만을 표시했지만, 언론들은 "왜 하필 이 시점에 이런 발표를 했느냐"며 강한 의문을 나타냈다. 한마디로 올림픽 개최를 방해하기 위해 고추가루 뿌린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 정말 멍청한 짓을 했다. 하려면 방사능 괴담이 횡횡할 때 중국처럼 일찌감치 하던지, 아니면 하루만 더 기다렸다 결과를 보고 하던지... 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됐으니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들은 결코 소리내 울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신경 쓰인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