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구세군 냄비의 유래를 아시나요?

[취재파일] 구세군 냄비의 유래를 아시나요?
구세군의 시작은 18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영국 런던 감리교 목사였던 윌리엄 부스와 부인 캐서린이 빈민가를 찾아가 서민들을 상대로 자선활동을 한 게 시초였죠. 각 지역마다 사령관을 두고 조직을 군대 형태로 운영해 '구세군'이라는 명칭이 붙게 됐고, 이후 이 운동은 세계 124개국으로 확산됐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908년 영국 선교사 로버트 호가트가 10여명의 사관을 데리고 들어와 구세군을 처음 시작한 것으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구세군하면 먼저 떠오르는 건 역시 자선냄비와 딸랑딸랑 거리는 종소리죠. 이 자선냄비는 1891년 겨울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배 한 척이 난파됐을 때 구세군 사관 조지프 맥피가 난민들을 구호하기 위해 부두가에 솥을 걸어두고 돈을 모금하면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맥피는 당시 이 돈으로 따듯한 수프를 끓여 난민들에게 먹였다고 하는데요, 어려운 이웃을 돕는 따뜻한 온정이라는 측면에서 냄비가 구세군의 정신을 잘 살렸다고 볼 수 있겠죠.

우리나라는 1928년 당시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었던 박준섭 사관이 서울 도심에서 낡은 양은냄비로 첫 모금을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도 선교활동과 난민구호 활동은 있었지만, '냄비'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건 이때쯤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시작한 구세군 냄비가 지금은 전국에 300개에 이르는데요, 규모가 무척 커져 여기서 종소리를 울리는 자원봉사 구세군만 해도 교대 인력까지 다하면 이제 3만여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사실 당시의 냄비와 지금의 냄비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그만큼 구세군 자선냄비는 8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변화에 변화를 거듭했습니다.

먼저 2004년 독일의 주방용품 업체 '휘슬러'가 자사의 냄비를 기부해 낡은 양철냄비를 지금의 강철 냄비로 바꿨습니다.(이번에 취재과정에서 처음 알았습니다만, '휘슬러' 냄비는 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주방용품에선 나름 알아주는 메이커라고 하더군요. 이 냄비는 눈과 비를 맞아도 잘 부식되지 않게끔 코팅되어 있고 제작과정에서 동전의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수천번의 실험을 거친다고 합니다.) 어쨌든 이렇게 해서 아랫면 지름 35cm, 윗면 지름 30.7cm, 높이 24cm 크기에 윗면보다 바닥이 넓은 형태의 지금의 자선냄비가 탄생한 겁니다. 휘슬러는 지금까지 모두 1만 6천 780개의 자선냄비를 기증했다고 합니다. 교체와 수리가 이뤄진 자선냄비만 연 평균 160여개, 모두 1천470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런 민간기업의 노력 말고도 구세군 자선냄비는 매년 끊임없이 변했습니다. 기존 자선냄비 이외에도, 2005년에는 관공서나 은행,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니 구세군 자선냄비'가 보급됐고요. 2006년에는 1년 내내 아무때나 기부할 수 있는 '365 사랑의 모금함'이 제작됐습니다. 이어 2008년에는 아이들의 기부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구세군 사관 유니폼을 입은 '마스코트 캐릭터형 자선냄비'가 보급됐습니다. 또 2009년 구세군 밥차, 2010년 스노우볼 자선냄비 체험관을 거쳐 2011년에는 회전목마 자선냄비 체험관도 나왔습니다.

올해는 대관람차 모형의 자선냄비 체험관이 서울광장의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 옆에 세워졌는데요, 밤에는 트리처럼 불을 밝히는데다 한가운데 거대한 자선냄비도 마련해, 시민들이 구경하며 사진도 찍고 실제 기부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구세군측은 올 겨울 이 '대관람차 자선냄비'가 '도네테인먼트'(기부 donation+ 오락 entertainment)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이 일상의 놀이에서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문화를 자연스럽게 조성해 '즐거운 나눔'을 하도록 만든다는 거죠.
이미지
이외에도 올해부터는 또 '카드 구세군 냄비'도 처음으로 선을 보이게 됩니다. '카드 냄비'란 전국 거리에 세워질 구세군 자선냄비 위에 카드단말기를 설치한 걸 말하는데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한번 대면 2천원씩 결제된다고 합니다. 물론 결제 취소도 가능합니다. 취소하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겠지만 말이죠.(원래 한번에 더 많은 금액을 결제할 수도 있지만, 술 취한 상태에서 실수로 많은 금액을 결제하고 나중에 취소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까봐 이를 방지하기 위해 2천원 정도로 기부액을 정했다고 합니다.)

구세군측은 요즘 사람들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많이 사용하고, 현금을 잘 안 갖고 다니다보니, 이런 분들이 기부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카드 사용이 일상화된 요즘 세태를 반영해 기부 문화도 변한 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올해 구세군은 이달 30일 정오부터 다음 달 24일까지 자정까지 모금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난 해 구세군 모금액은 모두 48억9천여만원이었는데요, 한국 구세군측은 올 겨울에는 대선도 있고 경기도 좋지 않아 모금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해만큼 모금이 안될 것 같다는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모두 아시다시피 경기가 안좋으면 주변의 어려운 이웃들은 배로 더 어려울 게 분명합니다. 구세군측은 이런 때일수록 조금씩이나마 따뜻한 마음을 발휘하는 모습이 절실하다고 시민들에게 당부했는데요,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도 올 겨울 이웃을 위한 따뜻한 마음을 조금씩만이라도 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구세군 취재하면서 새로 나온 '카드 냄비'로 기부에 동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