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효과는?

[취재파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효과는?
지난주 일요일(13일), 여느 때처럼 일주일치 장을 보기 위해 대형마트를 찾았다. 그런데 아뿔싸, 대형마트 앞에 갔을 때 줄줄이 방향을 바꾸는 차들을 보고서야 오늘이 대형마트 의무휴일인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 항상 갈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한 마트가 문을 닫은 모습을 보니까 적잖게 당황스러웠다. 일주일 먹고 쓸 장을 휴일에 한꺼번에 보는 생활패턴을 반복해왔던 터라 더 그랬을 수도 있다. 동시에 대형마트 의무휴일 소식을 뉴스로 여러 차례 스스로 전했으면서 정작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다니 '피식' 허탈한 웃음도 나왔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찬반양론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으로는 찬성한다. 반대하는 쪽에서는 한 달에 두 번 쉬어서 소비자만 불편할 뿐이지 누가 전통시장을 가겠느냐 회의론에 기반을 둔 의견을 피력한다. 일요일 매출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대형마트들도 반가울 리 없다. 소비자 편의를 해치고 영업의 자유를 박탈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고, 서울 광진구의회에서는 의무휴업제 조례안이 부결되기도 했다 .

하지만 어떤 대책이든 완벽한 효과를 모두 장담하고 시작하는 것은 없다. 마트 휴업이 시작되면 처음에는 기자 본인처럼 혼선도 빚고 불편하기도 하겠지만, 점차 장을 볼 수 있는 다른 곳을 찾아보기도 하고, 전통시장도 가볼 수 있다. 한 번도 안 가보던 곳을 한 번 가본다는 것은 생각보다 더 큰 의미가 있다. 전통시장에서 소소한 재미를 찾고 값이 싼 품목이 뭔지도 발견하고, 그러면 다시 찾을 수도 있고, 단골도 생길 수 있다.

물론 "나는 마트만 갈 것이다" 하는 소비자도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는 토요일에 장을 앞당겨 본다든지 스스로 다른 방안을 찾게 마련이다. 대형마트들도 영업시간 연장 등으로 매출감소를 만회하듯이 상황의 변화에 대해 각각의 경제 주체들도 대응에 나서게 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소상공인 보호, 대중소 유통업자간 균형발전이라는 본래의 취지에는 얼마나 부흥할지를 지켜봐야 한다.

대형마트가 두 번째 의무휴업에 들어간 지난 13일에 전통시장은 매출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한다. 다만 지난달 22일 첫 번째 의무휴업 때보다는 증가폭이 줄었다. 아직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가져온 효과를 평가하기에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경영진흥원과 소상공인진흥원이 전국 전통 시장 내 점포 141곳과 대형마트, SSM 주변 중소 소매업체 459곳을 점검한 결과, 지난 13일 평균 매출은 64만6천 원으로 전주 일요일인 지난 6일보다 7.3% 늘었다.

의무휴업 첫날이던 지난달 22일에 비해 증가폭이 대폭 둔화된 것. 당시 평균매출은 13.9% 증가하고, 평균고객수도 12.5% 늘었다. 시장경영진흥원 측은 "의무휴업이 두 번째가 되면서 미리 장을 보는 소비자도 있었을 것이고, 날씨가 좋아져서 주말에 외곽으로 나들이를 떠난 사람들도 많았을 것으로 본다"면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효과가 크게 사라졌다고 보기는 아직 이르다"고 평가했다.
이미지

동시에 대형마트 의무휴업 효과를 최대화하려는 전통시장의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이마트 광명점과 연결돼 있는 경기 광명시장은 이날 개별 점포별로 10% 할인 행사를 실시하면서 매출은 25%, 고객은 30%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고 하고, 대구 서남 신시장은 상인회 중심으로 라면 등 특가판매에 나서고, 농수산물을 마진없이 팔면서 매출과 고객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기자는 그날 대형마트에서 차를 돌려 집으로 돌아온 후 집 주변 전통 시장을 찾았다. 잠실의 새마을시장은 꽤 역사가 오래된 곳이고, 주변을 지날 때마다 항상 봐오던 곳인데 시간을 내서 갈 기회가 없었다. 날씨도 좋고해서 구경삼아 나갔는데 소소한 재미가 있었다. 공산품은 대형마트에서 사는 게 좀 더 저렴한 듯 했다. 다만 과일 채소, 생선은 시장이 가격적 우위가 있었다(물론 전체 상품의 가격 데이터를 비교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경험에 기반해 든 느낌이라는 점은 밝혀 둔다).

경제 패러다임은 이제 '공생'이다. 아예 경쟁 상대가 안 되는 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는 '효율'이나 '합리', '시장원리'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대형마트가 매출이나 영향력 측면에서 절대적 우위에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한 수준의 공생의 방법을 찾고, 소상공인 나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