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디도스 돈 거래 종합해보면…

등장인물과 돈 거래 내역 종합 정리

[취재파일] 디도스 돈 거래 종합해보면…

김정일 위원장 사망 소식에 언론의 관심사에서는 약간 비켜나 있습니다만 디도스 공격 사건 수사는 경찰의 손을 떠나 검찰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찰수사에서 나타난 돈 거래 내역과 별도로 또 하나의 거래 내역이 나왔는데요, 국회의장실 전 비서 김모 씨가 청와대 박모 행정관에게 5백만 원을 송금했다는 겁니다. 시점이 묘하게도 지난 10월 26일. 재보궐 선거 당일로 디도스 공격이 있었던 그날입니다.

박 행정관은 디도스 공격 전날인 10월 25일 김 전 비서와 저녁 식사자리를 가졌던 일로 경찰의 참고인 소환조사를 받았던 적이 있는데요, 경찰이 유독 박 행정관의 소환 사실만 공개하지 않는 바람에 청와대 개입설과 은폐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었죠.

경찰은 이번에도 뒤늦게 두 사람의 돈거래 내역을 공개하면서 범죄 관련성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급전이 필요했던 박 행정관의 부탁으로 김 전 비서가 빌려준 돈이라는 것이죠. 실제 박 행정관은 11월 29일 김 전 비서에게 받은 돈의 일부인 4백만 원을 돌려주기도 했습니다. 또 청와대 행정관 박 씨가 당시 국회의장 비서이자 후배인 김 씨에게 돈을 송금했다면 모를까 그 반대였기 때문에 디도스 공격과 관련 있다고 보기 힘들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디도스 공격 사건을 전후해 그동안 조사를 받은 인물들 사이의 돈 거래. 건수도 여러 가지고 등장 인물도 많아서 전반적인 내용을 다시 정리해봤습니다.



▶ 등장인물
1.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실 공 전 비서 : 디도스 공격 주도한 혐의로 구속 (범행 자백)
2. 인터넷 업체 대표 강 씨 : 공 씨 지시로 실제 공격을 실행한 혐의로 구속(범행 자백)
3.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 디도스 공격 전날 공 전 비서와 술자리. ‘공격하겠다’는 공씨의 말을 듣고 말렸다고 진술. 참고인 신분 소환 조사 받았지만 공격 관련성 강력 부인
4. 청와대 박 행정관 : 디도스 공격 전날 김 전 비서와 저녁식사. 공 전 비서가 있었던 2차 술자리에는 참석하지 않음. 역시 참고인 신분 소환조사를 받았지만 공격 관련성 강력 부인.



▶ 거래내역
1. 10월 20일 :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 최구식 의원실 공 전 비서 (천만 원 송금)
2. 10월 26일 :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 청와대 박 행정관 (5백만 원 송금)
3. 10월 31일 : 최구식 의원실 공 전 비서 ⇒ 디도스 공격 실행 강 씨 (천만 원 송금)
4. 11월 11일 :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 디도스 공격 실행 강 씨 (9천만 원 송금)
5. 11월 17일, 26일 : 디도스 공격실행 강 씨 ⇒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1억 원 송금)
6. 11월 29일 : 청와대 박 행정관 ⇒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 (5백만 원 송금)

당초 경찰 수사팀은 1번과 3번 거래의 천만 원이 결국 김 ⇒ 공 ⇒ 강으로 이어져 공격 착수금 성격으로 쓰인 게 아닌가 의심했습니다. 그리고 4번의 9천만 원은 일종의 실행 보상금으로 강 씨에게 주어진 게 아닌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두 건 모두 돈을 송금한 사람은 국회의장실 김 전 비서였습니다. 경찰은 김 씨에 대한 3차례 소환조사에 거짓말 탐지기까지 동원했습니다. 김 전 비서가 이미 구속된 최구식 의원실 공 전 비서의 이른바 ‘배후’가 아닌가 의심했던 것이죠.

그러나 김 전 비서는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있습니다. 돈 거래가 모두 자신의 월급계좌를 통해 이뤄진만큼 스스로 통장 거래 내역을 경찰에 제출했습니다. 공 전 비서에게 준 천만 원은 이자를 받기로 하고 빌려준 돈이고, 강씨에게 준 9천만 원도 30%의 이자를 약속받고 투자한 돈이라는 설명입니다. 박 행정관에게 준 5백만 원도 친분이 있던 박 행정관이 급히 돈이 필요하다고해 빌려줬다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5번과 6번 거래내역에 있듯이 실제 강 씨와 박 행정관으로부터 돈을 돌려받았다는 설명입니다.

앞선 취재파일에서 썼듯이 경찰의 판단은 상당히 오락가락했습니다. 특히 김 ⇒ 공 ⇒ 강으로 이어지는 1번, 3번 거래에 대해서 180도 해석이 바뀌었는데요, 처음에는 대가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가 나중에는 범죄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으로 번복됐습니다. 번복의 가장 큰 계기는 김 전 비서에 대한 거짓말 탐지기 조사 결과였습니다.

▶ 경찰 질문 취지 : "천만 원 송금할 당시 디도스 공격에 사용될 가능성을 알았나요?"
▶ 김 전 비서 답변 : "아니오."  (거짓말 탐지기에서 ‘거짓’반응이 나타남)

이 결과에 당시 수사팀은 상당히 흥분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거짓말 탐지기 조사는 정확성이 100%가 아니고, 증거로 채택되지도 않습니다. 참고 자료일 뿐인 것이죠. 김 전 비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거짓말 탐지기 조사가 오류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거짓말 탐지기가 맞다면 김 전 비서는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어느 쪽이 진실인지는 아직 가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돈 거래의 특성 가운데 하나는 모두 현금이 아닌 계좌 송금으로 이뤄졌다는 겁니다. 그래서 경찰이 내역을 파악하는 게 손쉬웠습니다. 당초 경찰은 보통 범죄에 사용되는 자금이 현금으로 이뤄지는데 반해 이들 돈거래는 모두 실명 계좌로 이뤄진 점을 강조했습니다. 정말 디도스 공격 대가성 자금이었다면 수사기관의 추적이 뻔한 계좌로 했겠느냐는 논리였습니다. 일견 합리적인 분석입니다.

그러나 경찰 수사가 공개된 실명계좌에 대해서만 이뤄졌다는 점이 한계입니다. 현금 거래 내역이나 차명계좌를 통한 거래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 부분은 전혀 확인이 안 된 상태입니다. 특히 대포 통장 만들기와 주민등록증 위조로 돈을 벌어왔던 강 씨가 디도스 공격을 실행했다는 점도 간과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확인된 돈 거래 내역은 절반의 확인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