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밀도 특별 관리' 대상 골목인데…아직도 곳곳 불법 증축

<앵커>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좁은 골목에서 사람들 통행을 방해했던 불법건축물들입니다. 경찰이 얼마 전 사람들이 많이 모일 수 있는 서울 골목길 16곳을 특별 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는데, 저희가 그곳을 모두 조사해 봤더니, 100개 정도의 불법 건축물이 확인됐습니다.

김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태원 지하철역 출구와 가까워 상가와 통행량이 많은 중심 거리입니다.

경찰이 고밀도 위험으로 특별 관리하겠다고 밝힌 서울 골목길 16곳 가운데 5곳이 이 거리와 맞닿아 있습니다.

참사가 일어났던 곳에서 30미터 정도 떨어진 한 골목입니다.

성인 남성 3명이 동시에 걸으면 길이 꽉 찰 정도로 비좁기 때문에, 고 밀집 위험 장소로 지정이 된 건데, 경사를 따라 올라가서 유동 인구가 가장 많은 거리와 합류하는 길목에는 1층 일부를 무단 증축한 불법 건축물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 다른 위험 구역인 홍대입구역 일대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위험 골목길 인근의 한 거리는 도로를 향해 튀어나온 무단 증축물을 포함해 주변 상가 대부분이 불법 건축물로 적발된 상태였습니다.

[불법 증축 점포주 : 홍대는 다 거의 증축이라고 보면 되죠. 사람의 본능적인, 자기 땅을 넓혀가고 싶은 마음 그런 거죠.]

SBS가 데이터 저널리즘 기법으로 16곳 위험 골목길의 반경 100미터 안에 불법 건축물이 얼마나 있는지 분석했습니다.

이태원 골목 인근 건물 42개, 홍대 골목 건물 40개 등을 포함해 모두 99개의 불법 건축물들이 확인됐습니다.

서울 시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불법 건축물은 4만 4천여 개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늘어났습니다.

올해 서울시에서 부과한 이행강제금 평균은 130만 원 정도, 부과 횟수도 1년에 2번에 불과하다 보니, 불법 증축으로 생겨나는 수익이 더 크다고 인식하게 되는 겁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잘못됐으면 철거하는 거 당연하다, 그럴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안전에 관련된 사항이라면 타협이 있어선 안 될 것 같습니다.]

서울시는 앞서 참사 방지를 위해 인파를 감지해 안내 방송을 하는 지능형 CCTV를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불법 건축물이 이렇게 골목 곳곳을 가로막는다면 안전 대책이 제대로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신세은, 데이터분석 : 배여운·최목원·손다인, CG : 방명환·손승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미제공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