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의힘, 책임론에 '2기 지도부' 출범…미흡 비판도

<앵커>

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에서 공천 같은 핵심 업무를 총괄하는 신임 사무총장에 경북지역 재선 이만희 의원을, 정책위 의장에는 수도권 3선 유의동 의원을 임명했습니다. 김기현 대표는 당정관계에서 당의 주도적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했습니다.

김학휘 기자 리포트 먼저 보시고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자>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보궐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사퇴한 임명직 지도부 후임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총선 공천 실무를 총괄할 사무총장에 경북 재선 이만희 의원, 정책위의장에는 수도권 3선 유의동 의원을 임명했습니다.

이 의원은 대선 때 윤석열 후보 수행단장을 맡았지만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고, 유 의원은 한때 유승민계로 분류돼 통합형 인선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유의동/국민의힘 정책위의장 : 정부·여당이 국민들께 답을 내놔야 하는, 그런 역할을 해야 되는 중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거기에 좀 집중하려고 합니다.]

지명직 최고위원에 여성 비례대표 김예지 의원, 당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장에는 수도권 재선 김성원 의원 등 모두 7명이 지도부에 합류했습니다.

임명직 8명 중 1명뿐이었던 수도권 출신이 4명으로 늘었습니다.

국정운영 목표를 서민 친화형으로 강화하겠다며 당 혁신기구 출범 등 쇄신대책을 내놓았는데 가장 눈에 띈 건 당 지도부 비판의 핵심이었던 대통령실과의 관계 변화였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민심과 동떨어진 사안이 생기면 그 시정을 (대통령실에) 적극적으로 요구하여 관철시켜 나가겠습니다.]

친윤계 등 주류는 수도권 인물난 속에 통합과 변화에 방점을 둔 최선의 인선이라고 평가했지만, '구색을 갖추려 했으나 안 맞다', '이 정도로 국민이 공감할지 의문'이라며 미흡하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집권 이후 17개월의 오류를 인정해야 한다며 언로가 더 열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준석/전 국민의힘 대표 :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조가 바뀌어야 된다는 이야기를, 그리고 당은 더는 대통령에게 종속된 조직이 아니라는 말을 하는 것이 그렇게도 두려우십니까?]

의원총회와 당직 교체를 계기로 김 대표 사퇴론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분위기지만, 여론 추이에 따라서는 언제든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이찬수, 영상편집 : 위원양)

---

<앵커>

김학휘 기자 나와 있습니다.

Q. 후임 당직 인선, 여당 내 평가는?

[김학휘 기자 : 김기현 대표는 어제(15일) 의원총회에서 주요 당직에 영남권을 배제하겠다며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하루 만에 총선 실무 책임자인 사무총장에 TK 인사를 임명한 거라 수도권에서 또 영남이냐, 이런 비판이 나오는 겁니다. 지도부도 고민인 게 지난 총선에서 수도권, 특히 서울 성적이 워낙 안 좋다 보니 인력 풀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는데요. 그나마 이 의원의 계파색이 옅다는 점, 다른 당직자들이 수도권 출신으로 젊어졌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Q. 당 쇄신 움직임에 대한 대통령실 반응은?

[김학휘 기자 : 오늘 윤석열 대통령의 일정과 메시지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도운 대변인의 설명 들어보겠습니다.]

[이도운/대통령실 대변인 : 대통령은 현안을 보고받고 국민 소통, 현장 소통, 당정 소통을 더 강화해 줄 것을 참모들에게 주문했습니다.]

[김학휘 기자 : 대통령실 관계자는 당정 소통 강화 주문에 대해 당과 정책 관련 소통을 강화하는 게 곧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는 거라는 설명을 내놨습니다. 윤 대통령은 한덕수 총리와 주례 회동에서도 민생 물가 안정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하는 등 민생 챙기기에 힘을 쏟는 모양새인데요. 수평적 당정 관계를 위한 추가 조치가 나올지도 관심입니다.]

Q. '김기현 대표 체제' 이어지나?

[김학휘 기자 : 비대위로 가면 혼란이 가중된다, 총선 필패다, 이게 당의 중론이라서 김기현 2기 체제로 가는 겁니다. 국정감사 뒤 장관과 대통령실 참모에 대한 쇄신이 이뤄지고 연말쯤 총선 진용이 갖춰질 텐데 이 과정에서 쇄신과 공천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김기현 2기 체제가 총선까지 힘을 받겠지만 지지율 정체 등으로 '수도권 위기론'이 여전하다면 지도부 책임론 다시 불거질 수 있는 겁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