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출생 미신고 400건으로 늘어…'부산 암매장' 수색 중

<앵커>

태어난 뒤 출생 신고가 되지 않은 아이들을 찾고 있는 경찰이 수사 중인 사건이 400건으로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지방자치단체들의 신고가 전국에서 이어지면서, 하루 만에 두 배로 늘어난 겁니다. 부산에선 생후 8일 만에 숨진 뒤 유기된 아이에 대한 수색이 진행됐습니다.

KNN 최한솔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기장군의 한 차도 옆 야산에 경찰기동대 등 30여 명이 수색을 벌입니다.

지난 2015년, 친모가 생후 8일 된 아기의 시신을 유기했다고 말한 현장에서 8년 만에 시신 수색이 이뤄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뼈 조각들이 발견됐는데 크기 등으로 볼 때 신생아의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 관계자 : (뼈가) 많이 크죠. 저희가 볼 때는 사람 뼈는 아닌 걸로 일단은 추정은 되는데….]

수색을 이어간다 해도 오랜 시간 동안 지형이 변한 탓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당장 관련 제도가 없었던 점이 사건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출생 신고 주체인 부모의 신고누락을 막기 위해 담당 의료기관이 지자체에 통보하도록 하는 출생통보제가 십수년간 국회에 머물다 지난달에야 통과됐습니다.

[부산 기장군 관계자 : (미신고 영아 파악은) 전혀 불가능합니다. 시스템이 없어서 기존에는 파악이 안 됐던 거죠.]

하지만 병원 밖 출산은 여전히 사각지대로 남으면서 보다 촘촘한 대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한편, 경남 진주에서도 영아 유기 사건이 드러났습니다.

지난 2017년 1월 태어난 아기가 태어난 지 하루나 이틀 뒤에 숨져 유기된 것으로 보입니다.

친모는 고인이 된 친할머니가 범행을 저질렀다 진술했지만 경찰은 친모와 외할머니를 상대로 수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이원주 KNN)

KNN 최한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