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물막이판에 모래함 설치…코앞 다가온 장마에 대비 분주

<앵커>

이번 장마철에도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난해에 침수 피해를 겪었던 곳들은 비를 앞두고 막바지 점검에 분주했습니다. 

김보미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난해 8월 폭우로 물바다가 됐던 서울의 한 전통시장.

장마 시작 소식에 시장통 전체가 분주해졌습니다.

점포 입구마다 빗물을 차단하는 물막이판 설치 작업이 한창입니다.

올해는 시장 내 점포 100곳 모두 물막이판을 설치할 계획인데, 현재 절반 정도만 완료돼 마음이 급합니다.

[송정아/관악신사시장 상인 : 저 위에까지 잠겼어요. (작년에는 물막이판 없었어요?) 없었죠. 있는 것도 몰랐고. (이번에도) 걱정되죠.]

감전 사고에 대비해 전기차단기도 새로 교체하고, 시장 내 빗물받이도 자체 점검을 강화했습니다.

하지만 하수구 역류는 여전히 걱정됩니다.

[임영업/관악신사시장 상인회장 : 사실 걱정되는 건 역류해서 올라오는 물이다 보니까 하루 이틀 만에 하수관을 고칠 수 없는 거고….]

지난해 침수로 인명 피해가 났던 주택가.

침수 위험이 있는 주택가 곳곳에는 이렇게 수방모래함도 설치돼 있는데요.

장마가 코앞으로 다가오자 이렇게 이미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입니다.

침수를 겪은 뒤 많은 주택에 물막이판이 설치됐지만, 그렇지 못한 곳은 모래주머니를 쌓아 놓고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봉화/지난해 침수 피해 주민 : (물막이판 설치) 못했지. 아무것도 안 해주네요 왜 그런지. 우리가 셋방에 있으니까….]

일부 지자체는 빗물받이 청소를 위해 쉴 새 없이 장비를 가동했습니다.

[조용진/서울 강남구 빗물받이 준설 담당자 : 전단지, 담배꽁초, 비닐류 같은 게 많이 막고 있는 거죠. 지정된 쓰레기통에 버렸으면….]

장마철 피해 예방을 위한 개별 행동요령 숙지도 중요합니다.

제동 거리가 늘어나는 빗길 운전 시에는 서행을 일상화해야 하고, 지하 주차장 등이 침수될 경우 차는 두고 서둘러 몸만 빠져나와야 합니다.

또 집중호우 시 산사태 위험 지역이나 계곡, 하천 등 범람 우려가 있는 곳은 접근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이승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