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무조정실, 교육부 복무 감찰 착수…"이번 주에 마무리"

<앵커>

최근 뜨거워진 수능 시험 초고난도 문제, 이른바 '킬러 문항' 논란과 관련해 국무조정실이 교육부에 대한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대통령 지시가 제대로 전달됐는지 밝히겠다는 것인데, 수능이 다섯 달밖에 남지 않은 만큼 국무조정실은 이번 주 안에 감찰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월 교육부에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이른바 '킬러 문항' 배제를 핵심으로 하는 '공정한 수능'의 실시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도 6월 모의평가에서 다시 킬러 문항들이 과목별로 출제돼 결국 윤 대통령의 지시가 이행되지 않은 것이 되자 국무조정실이 교육부에 대한 복무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SBS에 "교육부가 대통령 지시를 어떻게 수령해서 어떻게 이행했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감찰 대상은 지난 16일 대기 발령된 대입 담당 국장 등 수능 출제와 관리를 맡은 교육부 관료들과 부서입니다.

이 관계자는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교육부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이번 주 안에 감찰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치권은 책임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국민의힘은 정부의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을 강조하며 야당의 지난 대선 공약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강민국/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킬러 문항 배제는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대표의 공약이었고, 민주당도 사교육을 근절하고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개혁의 시급함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민주당은 수능을 다섯 달 앞두고 혼란을 초래한 최악의 교육 참사라고 규정했습니다.

[박광온/민주당 원내대표 : 대통령이 수험생과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합니다. 올해 수능은 지금까지 지켜온 방향과 기조를 유지해야 합니다.]

야당에서는 대기 발령 중인 교육부 담당 국장을 국회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와 교육부 감찰 이후에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김학모, 영상편집 : 박춘배, CG : 이종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