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억 투자한 게 27억 빚더미…비번 몰라 팔지도 못했다"

<앵커>

주가 조작을 주도한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이 투자자 명의로 주식을 사고팔면서 피해는 더욱 커졌습니다. 친척을 믿고 계좌를 넘겼다가 빚만 27억 원이 넘는다는 피해도 접수됐습니다. 피해자들은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

화강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대 직장인 A 씨는 지난 2019년 말 투자를 권유하는 친척을 믿고 어머니와 함께 3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A 씨와 어머니 명의의 휴대폰과 공인인증서, 계좌를 넘겼고, 이후 총수익 액수는 친척이 보낸 계좌 사진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A 씨/투자자 : 스크린샷도 아니고 다른 걸로 사진을 찍어서 보내주는 정도. '현재 수익금이 얼마예요' 이 정도만 보내줬지 그 이상의 내용은 받아본 적이 없어요.]

최근 주가 폭락 사태로 계좌를 직접 확인했을 때는 두 사람 앞으로 빚이 27억 원 넘게 늘어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A 씨/투자자 : 매도를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비밀번호를 모르잖아요.]

주가 조작 의혹 일당이 A 씨 모자의 수익금뿐 아니라 일당이 챙기는 수수료까지 두 사람 명의의 계좌로 CFD, 차액 결제 거래를 하면서 손해가 눈덩이처럼 커진 것입니다.

투자 원금의 2.5배, 종목에 따라 많게는 10배까지도 빚을 내서 투자할 수 있는 CFD는 개인 전문 투자자만 거래할 수 있는데, 금융위는 지난 2019년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금융 투자 상품 잔고 기준을 5억 원에서 5천만 원으로 낮추는 등 자격을 완화했습니다.

[A 씨/투자자 : 가장 어이없었던 건 제가 전문 투자자가 돼 있는 거예요. 저는 그걸 한 적이 없는데. 250%를 더 (투자)한다는 엄청난 건데 그게 이렇게 쉽게 내가 (전문 투자자가) 돼 있다는 게 말이 되나?]

금융당국이 뒤늦게 전문 투자자 요건 강화 같은 보완책 검토에 나선 가운데, 이번 사태로 투자 피해를 입은 10여 명은 주가 조작 의혹 일당을 어제(1일)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영상취재 : 하륭,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