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주 렌터카, 주말에는 빌리기가 '하늘에 별 따기'…왜?

제주도에서는 2018년부터 렌터카 총량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시 제주에는 3만 2천 대 정도 렌터카가 있었는데, 제주도는 2만 5천 대가 적정 렌터카 대수라고 정하고 이에 맞춰 감차에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2만 9천 대 정도로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렌터카 총량제를 시행한 건 제주 시내 교통 체증 때문이었습니다. 렌터카가 늘면서 주민 불편의 심각해지고 있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거기에 렌터카업체들이 과당경쟁을 벌이고, 렌터카 이용객들로 인한 각종 불편 민원도 늘고 있다는 이유도 있었습니다. 도로를 늘리는 등의 방식은 지반이 약한 제주도에서는 마냥 쉽지만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상황이 급반전됐습니다. 2020년 제주 여행객이 급감하긴 했지만, 2021년부터는 가파른 회복세로 돌아섰고, 그 와중에 렌터카 수요는 더 늘었습니다. 거리두기를 지키느라 렌터카를 여러 대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고, 대중교통보다는 렌터카가 코로나로부터 안전할 거란 인식도 있었다고 하네요.

이렇게 수요가 늘었지만 공급은 렌터카 총량제 때문에 늘지 못했습니다. 당연히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고, 뿐만 아니라 특히 주말에는 빌리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 이르렀죠.

물론 제주도와 렌터카업계도 렌터카 총량제를 시행하면서 보완책을 강구하기는 했습니다. 가격 상승이 있을 수 있으니 가격 상하한제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담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무산됐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가격에 대해서는 조절할 수 없는 업종이라는 게 공정위를 통해 확인됐는데, 그럼에도 공급을 조절하는 정책을 강행한 셈도 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렌터카 총량제를 실시한 게 이해되는 측면은 있지만, 세심하지 못한 정책이라고 지적합니다. 특히 렌터카 총량을 강제로 조절할 것이 아니라, 여행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을 획기적으로 증진해 수요 자체를 분산시키거나, 렌터카 반납 지역을 공항에서 좀 더 멀리 옮긴 뒤 셔틀버스를 활용하도록 해 교통량을 분산하는 방식 등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비싸진 렌터카 이용 비용과 구하기 힘들어진 상황에 렌터카업계 내에서도 "이래서야 앞으로도 사람들이 제주도에 오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만큼 제주도민과 여행객, 렌터카업계 등 모두가 덜 불편해질 수 있는 세심한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