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얀센 불투명 · 모더나 "미국부터 공급"…접종계획은?

<앵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이어 얀센 백신마저 혈전 부작용 논란에 휩싸이고, 그러다 보니 다음 달 국내로 들어올 것으로 기대했던 모더나 백신은 미국 공급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우리는 언제 받을지 모르는 상황이 됐습니다.

이렇게 공급과 안정성 문제로 백신 수급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진 만큼 접종계획도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다시 짜야하는 것은 아닌지, 남주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우리가 계약한 얀센 백신은 600만 명 분량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에 이어 3번째로 국내 허가를 받았고, 2분기에 첫 물량이 들어올 예정이었습니다.

희소 혈전증 때문에 30세 미만에게는 접종하지 않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대체할 후보이기도 합니다.

[백영하/범정부백신도입TF 백신도입총괄팀장 : 미국 접종 중단 계획과 관련해서 도입계획은 아직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이고, 모니터링하면서 안전성에 대해서 점검해나갈 계획입니다.]

하지만 얀센 백신의 유럽 출시가 미뤄진 상태여서 국내 도입 일정도 늦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백신 제조사인 모더나마저 미국 공급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발표해 국내 백신 수급 사정은 더욱 악화할 수 있습니다.

2분기 도입이 예상됐던 노바백스 백신은 6월에나 완제품이 출시돼 3분기부터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합니다.

얀센과 모더나의 2분기 도입이 무산될 경우 상반기에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총 1천809만 회분에 의존해야 합니다.

통상 한 해 전 세계 백신 생산량은 최대 55억 회분인데, 코로나19로 올해는 140억 회분 정도가 필요합니다.

백신 원재료와 중요한 소모품, 장비가 부족해 곳곳에서 생산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백신 도입계획과 접종 우선순위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