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사 국시' 입장 바꾼 정부…구제안에 "특혜" 논란

<앵커>

정부가 지난해 의사국가고시를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결국 응시 기회를 다시 주기로 했습니다. 1년에 한 번 보는 의사국가시험을 올해에는 두 번 실시하기로 한 것인데, 다른 국가시험과 비교해 공정하냐는 논란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8월 의대생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등에 반대하며 의사 국가시험, 즉 국시 응시를 대거 포기했습니다.

함께 진료 거부에 나섰던 전공의와 수련의들이 복귀한 뒤에도 본과 4학년생의 80% 이상이 국시를 거부했습니다.

정부도 수개월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손영래/보건복지부 대변인 (지난해 10월 28일) : 의사국가시험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적인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종전 입장에서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결국 정부가 입장을 바꿨습니다.

올해 의사 국시를 한 번에서 두 번으로 늘리고, 상반기 시험은 이번 달 말에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상 지난해 응시 포기자 2천700여 명이 후배들과 분리돼 별도로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당장 공정성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다른 국가시험과 달리, 응시자가 거부한 시험 기회를 다시 부여하는 것은 사실상 '특혜'라는 것입니다.

[이창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 최대한 빨리 시험을 보게 하는 게 공정성이나 형평성이 맞지 않다는 지적을 할 수가 있겠습니다. 계속 국민들한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노력을 하겠습니다.]

정부는 한 차례 국시를 거부했던 올해 상반기 국시 합격자들의 경우 비수도권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배치 비중을 기존의 67%에서 82%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