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마스크 안 쓰고, 빙수 나눠 먹고…카페 방역 '느슨'

<앵커>

보신 것처럼 강화된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돼도 식당과 카페의 경우 음식을 먹고 마시는 특성상 걱정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경기도 파주 스타벅스 관련 확진자는 더 늘어서 지금까지 50명으로 집계됐는데요.

한지연 기자가 식당과 카페에서 방역 수칙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둘러봤습니다.

<기자>

스타벅스 같은 유명 카페에서 확진이 이어지자 손님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합니다.

[장보희/서울 양천구 : 아무래도 테이크아웃(포장)을 주로 많이 하죠. 잠깐 갔다가 금방 나올 수 있는 정도? 아무래도 잘 안 가요.]

일부 카페는 방문객들이 줄어 한산해졌습니다.

[카페 매장 직원 : 어제까지만 해도 안 그랬는데, 뉴스 나오고 하니까 아무래도 그거(코로나19) 때문에 안 오시는 것 같아요. (오늘) 많이 줄어든 거 같아요. 한 30% 정도?]

확진자가 나왔던 스타벅스는 서울 주요 매장의 테이블에 투명 칸막이를 설치했습니다.

음료를 마실 때만 마스크를 살짝 내렸다 올리는 손님도 있지만 이런 수칙이 늘 지켜지는 것은 아닙니다.

먹고 마실 때는 물론이고, 주문하거나 대화할 때 마스크를 쓰지 않은 모습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카페 손님 : (어떤 손님이) 마스크를 안 하셨는데 점원도 당황스러우니까 주문을 그냥 받으시더라고요. 그런 수칙을 안 지키니까 좀 더 위축되고 놀랐죠.]

회의를 하러 카페를 찾은 사람들은 절반도 마스크를 쓰지 않았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했더라도 턱에 걸치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한 그릇에 든 음식물을 여러 명이 나눠 먹는 모습도 여전했습니다.

카페나 식당들이 먼저 나서 테이블 간 거리두기 등을 적용해야 하는데 대기업 계열이 아니면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

[식당 주인 : 한 번에 (손님이) 들어올 때는 어쩔 수가 없어요. 손님이 몰려 들어오는데 (거리두기 힘들죠.)]

전문가들은 카페나 음식점에서는 KF80이나 KF94 등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한 채 짧게 머물러야 하며 가급적 배달이나 포장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성일, 영상편집 : 김종우, VJ : 신소영)    

▶ 수도권, 비대면 예배만 O…클럽 · PC방도 닫는다
▶ 6일 만에 1,000명 넘었다…"신천지 때보다 큰 위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