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세관 공무원이 짝퉁 장사…고위급에 '승진 청탁' 의혹도

<앵커>

가짜 상품, 이른바 짝퉁을 단속해야 할 세관 직원이, 아예 업체를 차려서 짝퉁 장사에 나선 정황이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세관장을 지낸 고위인사가 직무를 이용해서 돈을 벌려 했던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강청완 기자입니다.

<기자>

명품 판매 및 중고거래로 잘 알려진 한 인터넷 오픈마켓의 시계 판매 업체 홍보 문구입니다.

최저가를 강조하며 '정식으로 통관절차를 거친 병행수입 제품'을 판다고 돼 있습니다.

판매자를 추적해 봤더니 대표자는 김 모 씨, 원정 성매매 등 여러 의혹을 받고 있는 세관 공무원 김 반장의 친누나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 업체가 사실상 김 반장이 운영한 업체라고 말했습니다.

[업체 관계자 : 부업으로 2010년쯤부터 일을 하고 있었어요. 중국 쪽에서 물건을 받아서 인터넷으로 파는 것. 사업자 좀 빌려줬으면 좋겠다고 하더라고요 명의 좀 (빌려달라고)]

실제로 끝까지 판다 팀이 입수한 김 반장의 계좌 내역을 보면 수입 업체와 돈을 주고받은 기록이 자주 등장합니다. 판매한 명품 중에는 속칭 짝퉁 제품이 다수 섞여 있었습니다.

세관 공무원 김 반장이 당시 현직 세관 직원이라는 지위를 사업에 이용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업체 관계자 : 세관(직원이) 근무하는 날 맞춰서 보내 달라고 그래요. 그 사람 이 자기 근무 때 (짝퉁을 검사에서) 빼고. 그 사람이 없으면 그 사람 아는 사람들, 밑에 있는 사람들에게 '이 물건 오면 빼 줘' 이렇게…]

---

수도권의 한 세관장을 지낸 현직 직원의 이른바 '투잡'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지난 2015년 주 상하이 총영사관에서 관세관으로 근무한 최 모 서기관, 후배 공무원 김 반장에게 중국산 버섯을 국내 유통하는 방법을 알아보라고 지시합니다.

실제 샘플을 국내로 반입하기도 했는데 최 서기관은 관세관의 업무는 아니지만 넓은 범위의 영사 업무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최 모 서기관/前 주상하이총영사관 관세관 : 이거 같은 경우도 관세 업무는 아니에요. 그래도 제가 해요. 결국에는 그게 한중 교류를 증진하는 것이 영사관 역할인데…]

김 반장이 최 서기관에게 "승진하고 싶다"며 부탁하고, 최 서기관이 이를 알아봐 준 대화 내역도 확인됐습니다.

관세청은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며 위법 사항이 확인되면 원칙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