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간단체라더니…국정원, 63억 투입해 '국발협' 운영

<앵커>

박승춘 전 보훈처장이 만든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라는 단체가 있습니다. 민간단체로 알려졌지만 알고 보니 원세훈 전 원장의 지시로 만들어지고 예산 63억 원을 국정원에서 가져다 쓴, 사실상 국정원 외곽 단체로 드러났습니다.

박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이른바 국발협은 지난 2010년 설립된 이후 보수정권을 찬양하는 안보교육을 주도해 국가 지원 기관이라는 의심을 받았습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자체 적폐청산 TF 조사를 통해 국발협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지시로 설립됐고 4년 뒤 없어질 때까지 63억여 원의 국정원 예산이 투입됐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상 국정원의 외곽 단체였다는 겁니다.

좌파는 종북세력이라는 요지의 국발협 안보교육도 국정원 심리전단 등이 교재와 강사 등을 결정해주고 추후 보고도 받았습니다.

개혁위는 국정원이 국발협을 통해 야당 정치인이나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정책 비난에 열중했다고 밝혔습니다.

심리전단만으로 모자라 오프라인 외곽단체를 두고 정치개입 활동을 한 셈입니다.

개혁위는 원 전 원장과 박승춘 전 국발협 회장 등에 대해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를 권고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에 국정원이 인물 검증을 주도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개혁위는 지난 2014년 2월부터 2016년 9월까지 국정원이 문체부의 요청을 받아 검증한 인물만 8천500명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민주당과 옛 통진당 당원, 정부비판 시국 선언에 참여한 인물 등 348명이 '문제 인물'로 낙인 찍혀 문체부에 통보됐습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