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7살 아이 통장에 5천만 원…증여수단 악용된 '재형저축'

서민 재산 늘려준다고 출시했는데…추가 조치 필요

<앵커>

4년 전 재형저축 상품이 18년 만에 잠시 부활했었습니다. 서민들 재산 늘리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최고 4%대 금리에다가 비과세 혜택까지 주면서 딱 2년여 동안만 가입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가입자를 조사한 결과 미성년자가 100명이 넘었고 7살 아이의 통장 잔액이 5천만 원이 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어떻게 이게 가능했는지 정혜경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높은 금리 혜택에 이자소득세까지 면제되는 재형저축 상품. 4년 전 출시된 첫날에만 30만 명이 가입할 정도로 인기였습니다.

서민들의 재산 증식에 초점이 맞춰져 가입조건도 엄격했습니다.

연봉 5천만 원 이하 근로자거나, 연 소득 3천5백만 원 이하 자영업자의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도록 조건을 제한했습니다.

[직장인 : 5천만 원이 조금 넘어서 가입이 안 된다고 해서. 저희 수준에서는 가입할 수 있는 상품 중에 제일 좋은 상품이었거든요.]

그런데 가입자 가운데 미성년자도 103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근로자로 보기 어려운 12세 이하 가입자도 22명이나 됐습니다.

이들 미성년자 계좌 1개당 평균 잔액은 전체 평균의 4배로, 만 3살에 가입해 7살이 된 한 가입자는 현재 잔액이 5천만 원이 넘었습니다.

가입 당시 연령 제한이 없었기 때문인데 부모들이 자녀를 위한 재산 증여 수단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권경민/홍익대 경영학과 교수 : 정책적 목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계 당국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서민재산 늘려준다고 출시한 재형저축이 취지와 달리 악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이를 추적 조사해 과세하는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오영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