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괌 위협했던 '화성 12형' 유력…다탄두 실험했나

<앵커>

오늘(29일) 쏜 탄도미사일은 북한이 그동안 괌 주변에 쏠 거라고 위협했던 '화성 12형'으로 추정됩니다. 오늘 발사에서는 재진입체가 대기권에 들어서면서 몇 개로 쪼개졌는데, 대기권 진입에 실패했을 가능성과 다탄두 실험을 했을 가능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김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 탄도 미사일은 동해 상공 250km 지점에서 1단 추진체가 분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승 단계 최고 속도는 마하 15를 기록했고 재진입체가 대기권 통과 직전 전체 비행단계에서의 최고속도를 찍은 뒤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몇 개로 분리되며 마하 10까지 속도가 떨어졌습니다.

중거리 탄도미사일 화성 12형의 연료량을 줄이거나 탄두 무게를 늘려 비행거리를 단축했을 때의 데이터와 유사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재진입체가 분리된 것은 대기권 통과 때 압력과 열을 못 이겨 폭발했거나 탄두를 여러 개 장착한 다탄두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장영근/한국항공대 교수 : 그걸(재진입체) 아이스크림콘처럼 얇고 뾰족하게 만들어야 해요. 그렇게 안 하면 안에 (탄두) 여러 개를 싣기가 어렵죠. (북한에) 그런 기술이 있는지는 아직 확인이 안 된 거고요.]

요격을 회피하기 위해 기만탄, 즉 가짜 탄두를 분리했을 수도 있습니다.

한미 군 당국은 폭발과 기만탄, 다탄두의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폭발했다면 북한이 대기권 재진입기술을 완성하지 못한 것이고, 다탄두라면 북한 미사일 기술이 진일보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영상취재 : 김찬모, 영상편집 : 조무환, CG : 서승현·박천웅)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