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상회담 앞두고 '사드 배치 합의' 공개…숨은 전략은?

<앵커>

대통령이 이렇게 사드 배치가 앞당겨졌다는 사실을 공개한 배경에는 여러 가지 포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드 배치 완료 시점이 원래 내년까지였단 점을 미국 측에 상기시키는 동시에, 중국과의 갈등도 풀어보겠단 뜻으로 해석됩니다.

남승모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간 최초 사드 배치 합의 사항을 공개한 시점은 한미 정상회담을 코앞에 둔 민감한 시기입니다.

외신을 통해 직접 밝힌 만큼 전략적 행동일 가능성이 큽니다.

원래 계획 자체가 내년까지 배치하는 것이었단 점을 미국 측에 상기시켜주려 했다는 겁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환경영향평가가 일정에 큰 차질을 주는 건 아니라는 것이 대통령의 발언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CBS, 워싱턴포스트, 로이터 등 유력 매체를 통해, 정상회담 전에 미국을 직접 설득하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애초 계획대로 내년까지 배치하겠다는 배치 데드라인을 제시해, 사드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수순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어젯밤 강경화 외교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한국 내 민주적 절차를 존중한다며 환경영향평가 결정 수용의사를 밝혔습니다.

사드 문제의 한 축인 중국도 함께 겨냥했다는 분석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 시진핑 주석과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그때는 그(사드 보복 조치)에 대한 시정을 요구를 할 것입니다.]

미국을 설득해 사드 완전 배치까지 시간을 번 뒤, 이를 지렛대로 중국의 사드 보복을 걷어 내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영상취재 : 문왕곤·이재영, 영상편집 : 이재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