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침에 버스만 타면 '꾸벅꾸벅'…기준치 넘은 이산화탄소

<앵커>

간밤에 푹 잔거 같은데 아침 출근길에 버스만 타면 다시 졸음이 쏟아지는 경험, 저도 참 많이 해봤는데요, 이유가 있었습니다. 환기가 잘 안돼서 공기가 탁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성훈 기자 설명 들어보시죠.

<기자>

출근길 버스 안, 창문은 굳게 닫혀 있고, 고개를 숙인 채 꾸벅꾸벅 조는 승객도 적지 않습니다.

[신아림/경기 용인시 : 공기가 탁하고 속이 메스껍기도 하죠. 무기력해지는 게 있는 거 같아요.]

버스 기사도 졸음이 쏟아지긴 마찬가지.

[정흥복/버스기사 : 참 쉽지가 않아요. 졸음이라는 것은 뭐 무슨 약이 있는 것도 아니고요. ]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으면 졸음운전을 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 측정기를 이용해 버스 실내의 공기 환경을 직접 파악해보겠습니다.

텅 빈 버스 안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700ppm대로 정상 수치입니다.

하지만 운행을 시작하자 1,000ppm으로 오르더니, 버스가 승객들로 꽉 차자 수치가 5,000ppm까지 올라갑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산소량이 부족해지면서 어지럼증, 피로감, 구토까지도 발생할 수 있고요. 운전자 입장에선 졸음운전이 유발되면서 대형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인데 미세먼지 때문에 마음껏 창문을 열 수도 없습니다.

[홍윤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환기를 제대로 하려면 외부의 미세먼지가 들어오지 않게 필터 같은 것으로 차단해서 맑은 공기를 공급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이산화탄소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능동형 환기시스템 설치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